[사설] 또 디도스 공격 받은 중앙선관위
입력 2012-04-11 18:43
4·11 총선을 하루 앞두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가 또 다시 디도스(DDoS 분산서비스거부) 공격을 받았다. 다행히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지연된 것 외에 큰 피해 없이 정상화됐지만 지난해 10·26 재보선에 이어 마치 ‘정례행사’처럼 선거 때마다 선관위에 사이버공격이 가해지는 행태가 매우 걱정스럽다. 더욱 철저한 대응태세를 갖추는 것은 물론 누가 그런 짓을 저질렀는지 끝까지 추적, 잡아내 엄벌에 처해야 한다. 아울러 인터넷 이용자들도 자신의 PC가 디도스 공격에 이용되지 않도록 컴퓨터 보안에 더욱 주의할 것이 요구된다.
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디도스 공격은 10일 밤 각각 34분과 18분간 두 차례 이뤄졌다. 이에 따라 3분가량 서비스 장애가 있었지만 약 2시간 동안 서비스가 중단돼 소동이 빚어졌던 10·26 재보선 때와는 달리 피해가 경미했다. 공격시간이 짧은 탓도 있었겠으나 대비가 잘 돼 있었기 때문이다. 즉 선관위가 10·26 디도스 공격 이후 50억원의 예산을 들여 자체 사이버대피소를 구축하는 등 사이버테러 방어능력을 향상시킨 노력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선관위 관계자는 “더 심한 공격이 들어와도 끄떡없을 정도로 자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사회의 컴퓨터 네트워크화가 심화될수록 사이버테러가 더 기승을 부릴 게 뻔하다. 선관위를 포함한 공공기관들은 철저한 대책 마련을 조금이라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이와 함께 디도스 공격을 가한 범죄자들에 대해서는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 설령 지난 1월 선관위에 디도스 공격을 가한 한 고교생처럼 단순한 호기심 또는 빗나간 사회적 허영심으로 인한 것이라 해도 그것이 가져올 파장 등을 감안하면 중벌에 처해야 마땅하다. 하물며 10·26 디도스 공격처럼 정치적 목적을 가진 것이라면 더 말할 나위도 없다. 이번에도 2차 공격의 경우 대상이 ‘내 투표소 찾기’ 코너였다는 데 비추어 정치적 의도가 개재돼있을 수 있다. 시간이 걸려도 반드시 범인을 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