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4·11] 재계 ‘기업정책 변화’ 촉각… 총선 후 여야 정치권, 대기업 규제정책 강화 예상
입력 2012-04-11 18:48
재계는 4·11 총선 이후 기업 정책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역대 다른 선거 때보다 더 ‘대기업 때리기’가 극심했던 이번 선거전에서 여야 누가 이기더라도 대기업 규제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이나 민주통합당이나 온도 차이는 있지만 대·중소기업 이익공유제와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근절 등 재벌개혁을 공약으로 내건 데다 12월 대선까지 선거정국이 이어지면서 기업들에겐 가장 어려운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고 있다.
경제단체들은 이 같은 우려를 반영해 11일 논평을 내고 경제를 살리고 갈등과 분열을 해소하는 통합의 국회가 돼줄 것을 촉구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각 당은 이번 총선 결과에서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아들여 화합과 상생의 정치를 통해 민생안정과 경제 활성화에 매진해줄 것을 기대한다”면서 “시장경제와 자유민주주의 원칙을 바탕으로 우리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고 논평했다.
대한상공회의소도 “경제를 살리고 국민이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비전을 제시하는 국회가 되기를 바란다”면서 “기업들이 투자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미래성장동력산업의 육성에 전력할 수 있도록 규제완화, 감세, 노동시장 유연성 제고 등 좋은 환경을 조성하고 시장경제의 활력을 높여달라”고 주문했다.
한국무역협회는 “19대 국회는 작년 달성한 무역 1조 달러 성과를 바탕으로 2조 달러 시대를 여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며 “추가적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과 발효를 통해 경제 영토를 넓히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