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 발사 만나서 논의하자”… 北 김계관, 3월 데이비스 대사에 편지

입력 2012-04-11 19:38

북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광명성 3호 위성 발사계획 발표 나흘 뒤인 3월 20일 미국 협상파트너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성 대북정책 특별대표에게 편지를 보내 위성 발사를 적대적인 시각에서 봐서는 안 되며, 두 사람이 이른 시일 내 만나서 사태 수습을 논의하자고 제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10일(현지시간) 워싱턴 정가의 소식지인 ‘넬슨리포트’에 따르면 이 편지에서 김 부상은 위성 발사는 ‘2·29합의’와는 완전히 별개의 문제이며, 북한은 이 합의를 끝까지 이행할 자세가 돼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이 영변 우라늄농축시설의 원심분리기 작동을 중단하는 등 2·29합의를 이행하기 위해 매우 빨리 움직이는 가운데 미국이 위성 발사 계획에 대응, 합의에 반하는 입장을 밝혔다며 자신은 이에 매우 실망했다고 적었다. 그는 위성 발사의 2·29합의 위반 논란과 관련, 자신이 1차 북·미 간 고위급 회담 때부터 ‘장거리 미사일 발사 유예(모라토리엄)’ 조항에 평화적인 위성 발사는 포함되지 않는다는 걸 아주 분명히 밝혔다며 이는 2·29합의의 근본적인 토대라고 강조했다.

김 부상은 이에 따라 위성 발사를 미사일 발사와 같은 대결의 시각에서 봐서는 안 된다며 가능한 한 이른 시일에 양자가 베이징 등에서 만나 북한의 입장을 직접 설명하고 사태를 수습할 방안을 토의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 부상은 미국이 대북 영양(식량)지원 중단을 검토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며 이는 북·미 간 2·29합의의 핵심요소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워싱턴 외교 소식통은 “정황과 구체적인 내용, 3월말 북·미 간 베를린 비공식대화 등을 통해 전달된 북한의 입장 등을 감안할 때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북한이 장거리로켓 발사 계획을 강행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 클린턴 장관은 국무부에서 겐바 고이치로(玄葉光一郞) 일본 외무상과의 회담 뒤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로켓 발사는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이라며 “각국 정부와 유엔 등에서 긴밀하게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으며,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