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선택의 날] 18대와 비교해보니… 비방·흑색선전·허위사실 공표 등 적발 31%P 급증
입력 2012-04-10 21:54
이번 총선에서도 정책은 뒷전이었다. 공식 선거운동에 들어가기 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제주 해군기지 건설, 복지문제 등 몇몇 정책이슈가 선거쟁점으로 떠올랐으나 금세 사그라지고 말았다. 네거티브식 폭로, 고소고발전이 판을 쳤다. 전국의 후보들이 ‘매니페스토(참공약 시민운동)’를 다짐했지만 유권자들에겐 여전히 네거티브 선거전이 더 잘 먹혀들었다는 증거다.
10일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이번 총선기간 비방·흑색선전·허위사실 공표 적발 건수는 4년 전 총선에 비해 31% 포인트 늘었다. 특히 수사의뢰가 이뤄진 중대 위반 건수는 2.8배 증가했다. 상대 후보 비방은 사실인 경우도 있지만 ‘아니면 말고’ 식 흠집내기 폭로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경북 포항에선 성폭행 미수 관련 폭로가 나와 논란이 한창이다. 포항남·울릉에 출마한 새누리당 김형태 후보의 동생(사망) 부인 A씨는 포항의 한 호텔에서 무소속 정장식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관계자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갖고 김 후보의 성폭행 미수 전력을 거론했다. A씨는 “1995년 남편이 암으로 사망한 후 두 아들과 부산에서 살던 중 2002년 5월 아들 장학금 문제를 의논하자며 김 후보가 상경을 요청해 오피스텔에서 만났는데 성폭행을 당할 뻔했다”고 주장했다.
정 후보 측은 동영상 사이트 유튜브를 통해 ‘김 후보가 조카와 대화한 내용’이라는 녹취파일을 공개했다. 김 후보로 추정되는 남성이 “큰아빠가 술을 먹고 결정적으로 실수를 했어. 정말 실수한 건 인정하는데, 마지막 남녀관계까지는 안 갔다”고 말하는 내용이다.
이에 김 후보는 “10년 전 일을 언급하는 것은 기획된 선거용 폭로라는 점을 분명히 밝힌다”면서 “관련자들을 명예훼손 혐의 등으로 사법기관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민주통합당 등 야당과 여성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김 후보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새누리당 이건 부대변인은 논평을 내 “경기 수원권선을 민주당 신장용 후보가 여러 곳의 단란주점에 지분을 투자해 운영하고 있으며, 연이자 200%가 넘는 고리대금 사채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는 언론보도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통합진보당 경남도당은 기자회견을 갖고 창원성산 새누리당 강기윤 후보의 중앙대 석사학위 논문 ‘주민자치센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표절 의혹을 제기하며 관련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강 후보 측은 “시간상 내용 검토를 못해 결론을 내릴 수 없는 상황”이라며 “선거가 끝난 후 반박문이나 성명을 낼 예정”이라고 밝혔다.
충남 천안갑 민주당 양승조 후보는 새누리당 전용학 후보를 검찰에 고발했다. 양 후보는 18대 국회에서 직접 발의해 통과시킨 법안이 18건에 이르는데도 1건에 불과하고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가 될 것처럼 선전하는 등 비방이 도를 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전 후보는 지난 6일 자신과 가족, 고교 동창의 전과기록이 기록된 홍보문건을 선거사무실에 비치해 놓은 민주당 양 후보를 검찰에 고발하는 등 후보자 간 고발이 선거전 시작 이후 하루도 끊이지 않고 계속됐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