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치발전 앞당기는 한 표 행사를

입력 2012-04-10 18:38

오늘은 유권자들이 앞으로 4년간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국회의원 300명을 선출하는 날이다. 총선을 앞두고 여야는 새롭게 거듭나겠다면서 간판을 바꿔달고, 새 인물을 선보이는 등 유권자들의 환심을 사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하지만 흑색선전, 고소·고발이 난무하는 등 선거운동 과정은 예전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여야는 선거운동 마지막 날인 어제도 상대 정당을 비방하는데 주안점을 뒀다. 새누리당은 철지난 이념에 사로잡혀 있는 거대 야당의 위험한 폭주를 제어해야 한다고 말했고, 민주통합당은 1% 부자만을 위한 정부와 여당을 심판하지 않으면 서민들의 삶이 무너질 것이라고 했다. 자신에게 표를 주지 않으면 나라가 결딴날 것처럼 으름장을 놓는 모습에 눈살을 찌푸리게 된다.

이번 총선처럼 정권 말기에 치러지는 선거에는 정권 심판의 의미가 담길 수밖에 없다. 민주당 김용민 후보의 막말 파문이 불거졌지만 MB심판론은 유효하다. 친박·친이계로 나뉘어 툭하면 계파 싸움을 일삼아온 새누리당도 이명박 정부의 실정에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 하지만 국민 보기에는 친노 세력이 주류인 민주당도 심판의 대상이다. 좌파 성향이 강한 통합진보당과의 선거 연대를 위해 노무현 정부 당시 추진된 한·미 자유무역협정과 제주 해군기지에 반대하는 이율배반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여나 야나 고만고만한 수준이다.

따라서 유권자들은 정당보다 출마한 후보들의 능력과 자질을 세심하게 살펴본 뒤 한 표를 행사하는 게 옳다. 먹고사는 문제 해결과 지역발전을 위해 누가 더 헌신할지, 도덕적으로 하자는 없는지, 후진적인 정치문화를 개선시킬 의지는 있는지, 우리 안보를 위협하는 북한 정권에 대한 입장은 어떤지 등을 따져봐야 한다.

분열과 갈등 대신 화합과 협력의 공동체를 만드는 데 어느 정당, 어느 후보가 적합한지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력결집이 필수적이다. 유권자들이 투표를 통해 투쟁보다 통합을 갈망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정치권에 던져주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