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최종석 영치물 압수수색… 서울구치소 수감중, 증거인멸 자료 유무 분석
입력 2012-04-06 23:28
국무총리실의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부장검사)은 6일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최종석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의 영치물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최 전 행정관 소지품 중에 증거인멸과 관련된 자료가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최근까지 주미대사관에 근무해온 최 전 행정관은 국내 거주지가 없어 검찰 압수수색을 받지 않았다. 최 전 행정관은 장진수 전 주무관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계속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 공직윤리지원관실 기획총괄과장 진경락씨는 검찰의 2차 소환에도 불응했다. 대신 자신을 둘러싼 의혹을 부인하면서 억울하다는 취지의 진술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진씨를 강제 구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검찰은 기획총괄과 부하직원을 불러 진씨가 불법사찰을 지시했는지 등을 조사했다.
수사팀은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된 현금 5000만원의 출처를 확인하기 위해 류충렬 전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조만간 소환할 방침이다. 장 전 주무관은 장석명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이 류 전 관리관을 통해 전달한 돈이라며 ‘관봉(官封)’ 형태로 포장된 돈 뭉치 사진을 공개했다.
‘관봉’은 은행의 도움 없이는 시중에 유통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시중은행의 공모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관봉은 한국조폐공사와 한국은행, 시중은행 사이에서 유통되고 있어 일반인이 관봉을 접하거나 시중에 그대로 유통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고 말했다.
자금 출처와 관련, 류 전 관리관은 당초 총리실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모았다고 했다가 최근 제3자가 마련해줬다고 말을 바꿨다. 류 전 관리관은 “돈의 출처에 대해서는 검찰에서 밝히겠다”고 말했다. 이 자금 출처가 밝혀지면 증거인멸 과정에 청와대가 개입했는지 여부도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검찰 관계자는 “류 전 관리관을 조만간 소환하기 위해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사팀은 또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조사관 원충연씨를 소환, 조사했다. 민주통합당은 국정원과 기무사가 공직윤리지원관실과 함께 사찰을 했다며 원씨의 수첩을 증거로 제시했다.
한편 미공개 사찰 보고서 등이 담긴 CD 6장이 추가로 법원에 보관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장 전 주무관은 국민일보와 통화에서 “민간인 사찰 관련 기록물이 CD 6장에 담겨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내가 연루된 재판이 아니어서 내용은 열람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CD에는 폐기되지 않은 사찰보고서의 상당부분이 포함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김재중 조원일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