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中 교역 62% ↑… 남북은 10% ↓
입력 2012-04-03 18:44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북한의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사건 이후 한국 정부가 북한에 대한 신규투자를 불허하는 등 남북교역을 중단하면서 이 같은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과 북한의 교역액은 전년 대비 10.4% 감소한 17억1386만 달러를 기록한 반면, 북한과 중국의 교역액은 같은 기간 62.4% 증가한 56억2919만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대 북한 반출은 8억19만 달러로 7.8% 감소했고 한국의 대 북한 반입은 12.4% 줄어든 9억1366만 달러에 그쳤다. 한국의 대북한 반출입은 개성공단 입주 120여개 한국 기업의 원부자재 반입이나 생산 완제품 반출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반해 2011년 북한의 대중국 수출은 전년 대비 107.4% 증가한 24억6419만 달러, 수입은 38.9% 증가한 31억6501만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협회는 북·중 무역의 확대가 한국과의 교역중단으로 외화 획득이 힘들어진 북한이 중국에 무연탄, 철광석 등의 광물자원 수출을 확대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북한이 원유 등의 수입을 크게 늘린 것도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북한의 지난해 무연탄, 철광석 등 수출액은 16억474만 달러(전년 대비 136.4% 증가), 원유, 휘발유, 석탄 등의 수입액은 7억9313만 달러(전년 대비 62.5% 증가)를 각각 기록했다.
신종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