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D-7] ‘김제동 사찰’ 논란에 촉각 세운 새누리

입력 2012-04-03 21:48

방송인 김제동씨에 대한 ‘사찰’ 문제에 새누리당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김씨를 비롯한 소셜테이너(사회참여 연예인)들의 방송 도중하차 문제가 불거지면서 2010년 6·2 지방선거 등에서 참패했던 트라우마 때문이다.

지난 1일 공개된 경찰의 청와대 보고 문건에는 2009년 9월 민정수석실이 김씨 등 ‘좌파 연예인’에 대한 내사를 지시했음을 시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김씨는 그해 5월 노무현 전 대통령 노제 추모공연 사회를 맡았고, 10월 KBS ‘스타골든벨’ 프로에서 하차했다. 앞서 같은 해 4월 김미화씨가 MBC 시사프로 진행을 중단했고, 11월엔 손석희 성신여대 교수가 MBC ‘100분 토론’ 사회에서 물러나면서 외압 의혹이 확산됐다.

이는 2009년 10·28 재보선과 이듬해 6·2 지방선거에서 여당의 패배 원인으로 작용했다. 10·28 재보선 직후 안상수 전 새누리

당 대표는 “김제동 손석희씨 문제도 젊은 층에서 악영향을 줬다”고 말했다.

6·2 지방선거에서는 19세와 20·30대 투표율이 4년 전 지방선거보다 4.8∼9.5% 포인트 올라갔다. 이런 영향으로 선거 전 10∼25% 포인트 지지율 차이가 나던 한나라당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와 민주당 한명숙 후보는 0.6% 포인트 박빙의 승부를 펼쳤다. 김제동씨는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에도 투표 인증샷을 트위터에 올려 특히 2040세대의 투표 참여를 유발했다.

새누리당은 4·11 총선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김제동씨 사찰 파문이 불거지자 긴장하는 표정이다. 한 의원은 “김제동씨 파문이 젊은이들의 새누리당 이반을 촉발할 수 있다”면서 “수도권 등 경합지역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곤혹스러워했다. 벌써부터 민주통합당 후보들은 선거구에서 이 문제의 쟁점화를 시도하고 있다.

김제동씨가 2일 언론 인터뷰에서 국정원 직원이 2차례 찾아와 노 전 대통령 1주기 추모 행사 불참을 종용한 사실을 밝히자 트위터에는 ‘투표로 심판하자’거나 ‘투표율 70%’를 독려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청와대는 3일 민정수석실의 연예인 사찰 지시를 부인했다. 핵심 관계자는 “지금까지도 직접적으로 (그런) 문서를 생산했다거나 보고받았다는 사람이 없다”면서 “문서 양식이나 용어가 경찰청 용어가 아니라고 한다”고 말했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민주당은 여론을 호도하려 하지 말고 2600건이 왜 모두 우리 정부 것이라고 했는지 밝히는 게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