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 더딘 진행 버거운 가계빚 상환… 서민 생계형 부채 급격 증가

입력 2012-04-02 19:11


경기회복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면서 가계부채 상황이 호전될 가능성도 그만큼 멀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금융채무불이행자(구 신용불량자)가 증가 일로다.

2일 신용회복위원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신용회복지원 신청자는 2만3088명인 것으로 잠정 추계됐다.

이 가운데 원리금 연체가 90일 이상인 개인워크아웃 신청자가 1만8988명, 프리워크아웃(연체 90일 이내) 신청자가 4100명이다.

신용회복지원 신청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0만명을 돌파했다가 2010년 8만명대로 줄었으나 이후 다시 증가세다. 올 1분기와 같은 추세가 가속된다면 연내 10만명선에 육박할 수도 있다.

통계청 등이 발표한 ‘2011년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 비중은 56.2%로 전년보다 2.5% 포인트 늘었으나 소득5분위 중 최하위 소득계층인 1분위는 27.1%로 전년보다 4.2% 포인트 늘었다.

이뿐 아니라 1분위 소득계층의 절반 이상(54.7%)은 전·월세보증금, 결혼자금, 의료·교육비, 생활비, 부채상환 등 생계목적인 것으로 확인됐다(표 참조). 상위 4·5분위 소득계층의 가계부채는 절반 이상이 부동산 구입 목적이었다는 점과 크게 대비된다.

문제는 생계형 가계부채가 경제활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금을 차입한 것이기 때문에 경기회복이 더뎌 새로운 소득을 얻기 어렵다면 고스란히 못 갚는 부채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렇듯 저소득·서민층의 대출 원리금 연체 가능성이 커진다면 신용불량자는 늘어갈 수밖에 없다. 경기회복 대책 모색과 더불어 서민금융 지원체계 강화가 시급하다는 얘기다.

조용래 기자 choy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