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사찰 공방 가열] 여론조사로 본 선거와 상관관계… 서울거주·젊은층·野지지 유권자 ‘사찰’에 민감
입력 2012-04-02 19:02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불법 사찰 파문이 국민일보와 GH코리아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4·11 총선의 승패를 좌우할 수 있는 핵심 변수로 확인됐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이 사건이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의견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지역 유권자와 젊은층, 야당 지지자들이 불법 사찰 문제가 총선에 끼치는 영향력이 클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5개 서울 관심 지역에서는 10명 중 6명꼴로 ‘불법사찰 문제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한 반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3명 정도에 불과했다.
서울에서 진보성향 유권자 비율이 가장 높은 관악을에서는 “불법사찰이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한 사람(65.4%)이 ‘별로 영향이 없다’거나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응답자(27.5%)보다 무려 37.9% 포인트나 많았다. 노원병에서도 불법사찰 문제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한 사람과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한 비율이 각각 61.5%, 31.8%로 나왔다.
도봉갑에서는 500명의 응답자 가운데 299명(59.9%)이 ‘매우 큰 영향을 미칠 것(29.2%)’ 또는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30.8%)이라고 답했다.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자는 33.1%에 불과했다. 중구에서도 ‘영향을 미칠 것’(63.8%)이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30.1%)보다 두 배 이상 많았고 서대문갑에서도 불법사찰 문제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을 가진 유권자가 58.5%였다.
새누리당의 ‘텃밭’인 부산·울산·경남에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비율이 ‘영향을 미칠 것’의 절반에 머물렀다. 각각 부산 부산진을 32.8% 대 55.5%, 울산 중구 35.8% 대 55.9%, 경남 사천·남해·하동 29.7% 대 56.0%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 대상 관심지역에서 20∼40대 젊은층과 야당 지지자들이 불법 사찰 문제의 총선 영향력이 클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50∼60대 이상 노년층과 여당 지지자들 가운데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관악을의 경우 114명의 20대 응답자 중 86명(75.8%), 116명의 30대 응답자 중 79명(68.3%)이 불법 사찰 문제가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다. 60대(응답자 91명)는 49명(54.9%)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견을 내놨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