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사찰 공방 가열-3대 쟁점 정리] (3) 미공개 USB 있나 없나
입력 2012-04-02 18:51
檢 “재수사 때 확보… 현재 분석 중”
“사찰문건이 담긴 미공개 USB의 행방을 찾아라.” 민주통합당과 검찰이 사찰문건이 담긴 USB(이동저장장치)의 행방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민주통합당은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불법 사찰 문건이 담긴 기존의 USB 이외에 추가로 2개가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지난달 29일 KBS 새노조가 폭로한 2619건의 사찰 문건은 노무현 정부시절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에서 근무하다 이명박 정부 들어 공직윤리지원관실에 파견된 김기현 경정의 USB에 들어 있었다. 김 경정의 USB에 저장된 문건은 대부분 적법한 감찰 및 인사관련 자료인데 반해 미공개 USB에 담긴 기록은 민간인 불법사찰 등이 많이 들어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박영선 MB·새누리 심판 국민위원회 위원장은 “지금까지 밝혀진 USB 자료는 빙산의 일각”이라며 “(청와대와 검찰이) 떳떳하다면 아직 공개하지 않은 USB 자료를 공개하라”고 압박했다. 민주통합당에 따르면 검찰은 2010년 7월 9일 권중기(전 공직윤리지원관실 조사관)씨 집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USB를 확보했다. 또 장진수 주무관의 전임자인 김경동씨가 보관하고 있던 USB도 이미 갖고 있다는 것이다.
검찰은 추가적인 USB의 존재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이미 법원에 제출해 공개됐다고 맞섰다. 검찰 관계자는 2일 “전 수사팀에 확인해보니 권씨의 USB는 법원에 다 제출했다”며 “김씨의 USB는 재수사 착수 이후 행정안전부 사무실과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 당시 확보해 현재 분석 중”이라고 말했다. 향후 수사과정에서 미공개 USB에 담긴 문건이 추가로 공개될 경우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김재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