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사찰 문건 일파만파] 靑의 대반격… 盧정부 민간사찰 일일이 거론 “선거용 공세 말라”

입력 2012-04-01 20:48


청와대가 야권의 민간인 사찰 공세에 대대적인 반격에 나섰다. 노무현 정부 시절 민간인 사찰 사례를 조목조목 공개하며 민주통합당 등 야권을 향해 “총선용 정치 공세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최금락 청와대 홍보수석은 1일 브리핑을 통해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7년 5월 23일 하루에만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부정입학 및 성추행 비리, (주)남이섬 사장 공금횡령 비리, 대한우슈협회장 예산전용 및 공금횡령, 일불사 주지 납골당 불법운영 실태 등 공직자로 보기 어려운 사람들에 대한 기록이 들어 있다”고 공개했다.

그는 2007년 1월 보고된 현대자동차 전주공장 2교대 근무전환 동향 파악, 전국공무원노조 공무원연금법 개악투쟁 동향, 화물연대 전국순회 선전전 동향 등을 언급하면서 “이것들이 단순한 경찰 내부감찰이나 인사동향이라는 건지 의심스럽다”고 꼬집었다. 또 “법원이 노무현 정부 당시 국정원 직원이던 고모씨에 대해 이 대통령 주변인물 131명을 불법 사찰한 혐의를 인정해 유죄 판결했다”고 했다.

또 지난 정부에서 ‘BH(청와대 영문약자)’ 하명사건을 사정기관들이 처리했다고 주장하면서 경찰의 ‘BH 이첩사건 목록부’ 내용 일부를 공개했다.

최 수석은 “이 정부나 지난 정부나 진정과 제보가 접수되면 관련기관에 이첩해 처리토록 해온 점에선 같다”면서 “그런데도 지난 정부에선 없던 일이 마치 이 정부에서만 벌어졌다고 호도하고 왜곡하는 일은 더 이상 없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민주당이 집권했던 이전 정부에서도 다 한 일 갖고 괜한 정치공세를 펴지 말라는 공박인 셈이다.

최 수석은 31일에도 “문서 내용 대부분이 지난 정부 시절의 사찰 문건임에도 민주당은 선거를 앞둔 시점에서 이를 각색해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사찰 ‘당사자’ 격인 총리실도 청와대에 보조를 맞춰 “야당 공세가 조작된 거짓”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임종룡 총리실장은 브리핑에서 “문건 작성 경위나 책임소재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치적으로 이를 이용한 것은 사실 왜곡의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