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전경련 해체해야” 동반성장위원장직 사퇴… 대기업 행태 강력 비판

입력 2012-03-29 19:07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정부와 대기업에 쓴소리를 쏟아내며 위원장직을 사퇴했다.

정 위원장은 29일 오전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정기회의를 마친 뒤 “동반성장에 대한 대통령과 국민들의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지금 사퇴하는 게 최선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의 이익 속에는 협력 중소기업의 고통분담이 포함돼 있어 이익공유제를 제안했다”며 “그러나 대기업은 이익공유가 교과서에도 없는 포퓰리즘이라고 하면서 재벌총수가 범죄를 저지르고도 기업가 정신을 강조하며 엄포를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전국경제인연합회 해체도 거론했다. 그는 “대기업은 독재권력과의 유착으로 몸집을 키웠고, 그 보호막이 사라지자 전경련이라는 보호막으로 대체했다”며 “우리 재벌들은 이익을 위해서라면 기업철학도 휴지통에 넣기를 서슴지 않는다. 전경련은 발전적 해체도 생각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그가 대선에 출마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국민의 삶 속으로 직접 걸어 들어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도권과 각 지역의 동반성장을 위해 고민하겠다”며 “우리 사회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필요하다면 주어진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이 사퇴함에 따라 동반위 상임위원인 곽수근 서울대 교수가 위원장직을 대행하게 된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대기업 일감 몰아주기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모범 기준을 제정해 47개 대기업 집단에 채택을 권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정위 권고에 따라 롯데, 현대중공업, 한진, 한화, 두산그룹 등 주요 대기업들은 비계열 독립기업에 대한 사업기회 개방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잇따라 내놨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