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 없는 동반성장위 잘될까… 향후 활동 어떻게

입력 2012-03-29 21:40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이 사퇴함에 따라 동반위의 위상도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동반위는 상임위원인 곽수근 서울대 교수가 위원장직을 대행하는 체제로 당분간 운영될 전망이다. 그러나 전국적인 지명도를 가진 정 위원장 체제에서도 정부와 재계로부터 외면을 당했다는 점에서 동반위가 향후 어느 정도 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 위원장은 29일 사퇴의사를 밝히는 자리에서 “그동안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더 이상 자리를 지키는 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지금 대기업은 지난해 거둔 이익으로 성과급 잔치가 한창이지만 중소기업은 생존을 위한 힘겨운 싸움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대기업은 동반성장을 한다는 시늉만 보이고, 관료는 성과가 없다고 판명된 성과공유제만을 주장하고 있는 게 안타깝지만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의욕적으로 동반성장위원장을 맡았지만 정부와 대기업의 비협조적인 태도 때문에 발목이 잡혔던 것을 빗댄 말로 해석된다.

정 위원장은 동반위 출범 초기부터 줄곧 정부 관료들이나 대기업들과 마찰을 빚으면서 동반성장을 외쳤지만 실질적인 압박 수단이 없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따라서 정 위원장이 사라진 동반위는 더욱 위축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동반위는 이날 정기회의에서 ‘동반성장 확산을 위한 세부원칙과 기준’을 발표하면서 동반성장 확산 의지를 재확인했다. 우선 매출액 기준 상위 250개 대기업 가운데 동반성장 파급효과가 큰 삼성엔지니어링, 제일모직 등 21개사를 ‘2012 동반성장 평가 대상’ 기업으로 추가 선정했다. 이로써 평가 대상 대기업은 74개로 늘었다. 또 대기업의 중소기업 인력 빼가기와 관련, 대기업은 신규 인력 수요가 발생하면 중소기업 재직자가 아닌 기타 분야 전문 인력을 우선 채용하고 채용이 불가피할 경우 해당 중소기업과 협의하도록 했다.

아울러 동반위는 ‘2011년 동반성장지수 발표 대상’ 56개 대기업의 성적을 4월 말 발표키로 했다. 따라서 4월 발표 때 어느 정도 대기업들의 호응을 얻어낼 수 있을지가 ‘정운찬 없는 동반위’의 1차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