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사후 피임약 처방없는 판매 방안에… 교계 “생명경시” 반대
입력 2012-03-29 18:46
정부가 응급(사후) 피임약을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교계는 “생명 경시 행위를 중단하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낙태반대운동연합(낙반연·회장 김현철 목사)은 29일 ‘응급 피임약 일반약 전환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발표하고 “응급 피임약의 일반약 전환을 요청한 단체들이 주장하는 근거가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 그리고 낙태예방을 위해 응급 피임약의 접근성을 높이자는 것이지만 그 모든 기대가 현실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낙반연은 “응급 피임약을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기대와는 달리 여성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하고 준비되지 않은 임신을 늘리며 불법적인 낙태를 고민하게 만든다”면서 “응급 피임약은 말 그대로 응급할 때만 전문의의 진단과 처방과 상담을 거쳐 구입할 수 있도록 제어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교회언론회(대표 김승동 목사)도 “응급 피임약은 낙태를 전제로 하고 있다”며 “응급 피임약을 일반약으로 전환하면 성의 문란이 오지 않을까 염려된다”며 처방전 없는 응급 피임약 판매 추진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미래목회포럼(대표 정성진 목사)도 “사후 피임약을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면 청소년들을 무분별한 성문화에 노출시킬 위험이 크다”면서 “사후 피임약은 초기 인간의 생명을 죽이는 문제를 야기하며 그것은 윤리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고, 신앙적으로도 당연히 거부해야 할 사항”이라고 밝혔다.
한국장로교총연합회(대표회장 윤희구 목사)도 “응급 피임약은 생명이 가는 길을 방해하며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성의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밖에 남북조찬기도회(상임대표회장 김윤기 목사)와 생명목회협의회(대표회장 박기철 목사) 등 교계 기관·단체들도 “이번 검토는 성개방의 다른 표현에 불과하며 서울시 학생인권조례 경우처럼 임신·출산이나 동성애를 조장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유영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