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 신용회복·생활자금 60억 지원… 서울시, 가계부채 위기관리 종합대책 발표

입력 2012-03-28 21:45


서울시가 가계부채로 인해 시민이 위기를 겪을 경우 시의 도움으로 신속하게 가정경제를 안정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시는 시민들의 가계 부채증가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고 부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서울시 가계부채 위기관리 종합대책’을 28일 발표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서울의 가계부채 규모는 204조521억원(가계대출 기준)으로 전년에 비해 4.8% 증가했고, 1000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60.9%가 부채가 있었다.

시는 우선 도움이 필요한 시민이 언제든지 상담을 받고 정보를 얻을 수 있게 47개 상담센터를 설치키로 했다. 25개 자치구에 ‘가계부채 종합상담센터’를 5월까지 설치하고 분야별 상담과 맞춤형 처방을 제시한다. 도봉·금천 등 소상공인경영지원센터에 금융·재무상담을 창구를 설치해 신용관리 등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시는 35세 미만 청년층의 신용회복과 생활안정을 위해 6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30억원을 들여 채무 불이행자로 전락한 청년층의 채무를 상환,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돕는다. 신용회복위원회가 500만원 이하의 채무를 대신 상환하고 취업 후 연 2%의 금리로 최장 5년간 원리금을 분할 상환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1년 이상 성실하게 변제금을 상환하면 생활안정자금 500만원을 지원한다.

최저생계비 150% 이하인 생계유지곤란자와 과다부채가구에도 긴급 지원을 한다. SH공사와 LH 소유의 보금자리주택 공급 물량의 2%를 가계부채로 집을 잃은 시민에게 우선 지원하고, 3개월간 매월 55만5000원(3∼4인 가구)의 긴급주거비도 제공한다. 위기가구 800명에게 나눔 일자리도 마련한다.

‘서울형 마이크로크레딧’를 시행한다. 저소득층 예비창업자와 영세자영업자들에게 창업과 경영안정에 필요한 자금 100억원을 무담보 저리로 빌려준다. 생계형자영업 전통상업점포판로지원 등 1550개 점포를 지원한다.

김칠호 기자 seven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