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티베트 정책, 국제문제로 비화… 美의회 “탄압 중단·수감자 석방” 결의안-유엔 “진상조사단 파견”
입력 2012-03-28 21:45
미국 의회와 유엔이 티베트 사태를 더 이상 간과할 수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의 티베트 정책이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중국은 티베트를 자국의 ‘핵심 이익’이라며 ‘내정 문제’라고 반박하고 있다.
미국 상원 외교관계위원회는 27일(현지시간) 중국 정부에 대해 “티베트 탄압 정책을 중단하고 티베트인 분신 자살 이후 체포된 수감자들을 석방하라”고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AFP가 보도했다.
이 위원회는 결의안을 통해 중국의 통치에 항의해 지난 한 해 동안 분신 자살한 최소 19명에 대해 애도를 표하고 티베트인 탄압정책을 개탄하면서 임의로 구금된 티베트인들의 석방을 촉구했다. 또 저항의 중심지인 중국 남서부 키르티 사원에서 수도승들이 쫓겨난 데 대해 중국 측이 경위를 설명하도록 미국 정부가 요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이 티베트 라싸에 미국 영사관 설립을 승인하기 전까지 미국 내에 새로운 중국 외교공관도 허용하지 말 것도 요구했다.
앞서 유엔은 지난 22일 티베트에서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진상 조사를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입장을 밝힌 것은 티베트인 3명이 뉴욕에 있는 유엔 본부건물 부근에서 최근 한 달 동안 티베트 사태와 관련해 단식투쟁을 벌인 데 따른 것이다.
나비 필라이 유엔인권최고대표는 이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유엔은 티베트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 특별조사위원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12일 대변인을 통해 단식투쟁 중인 3명의 건강을 우려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중국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자칫 미국과 갈등을 빚게 될 소지가 높은 상황이다. 티베트 점령일 53주년을 맞은 28일 외교부의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각 민족의 합법적인 권익을 보호하고 국민의 종교와 신앙 자유를 보장하고 있다”며 “미국 어떤 의원들이 사실과 거짓을 구분하지 못하고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주미 중국대사관 대변인도 미 상원 움직임과 관련해 “중국은 신앙의 자유와 소수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티베트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지난 1959년 이끈 봉기를 진압한 뒤 지금까지 이곳에 막대한 투자를 함으로써 티베트인들의 생활이 과거보다 훨씬 나아졌다고 강조하고 있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