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 D-13] 승패 좌우할 3대 변수… ‘색깔논쟁’ 최대 부각

입력 2012-03-28 18:40

(1) ‘색깔논쟁’ 최대 부각 (2) 미래전진 vs 정권심판 (3) 격전지 야권연대 효과

19대 총선 표밭 갈이가 본격화되면서 몇 가지 선거변수가 부각되고 있다. 막판에 돌발변수가 생길 수도 있겠지만 대체로 다음 세 가지 변수가 여야의 승패를 좌우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색깔론 공방이다. 보수와 진보의 표를 결집시키기 위한 이념대결 구도는 역대 선거의 단골메뉴였다. 이번에는 공식 선거운동도 시작되기 전에 불이 붙었다. 여론조사 조작 의혹으로 불출마한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에 이어 ‘경기동부연합’ 출신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이상규 전 민노당 서울시당위원장이 서울 관악을에 출마하면서 색깔논쟁이 시작됐다. 특히 새누리당은 민주통합당이 급진좌파 정당인 통합진보당에 휘둘린다는 점을 부각시키며 중도보수 표 결집을 시도하고 있다.

새누리당 조윤선 대변인은 28일 라디오에 출연해 “급진 정당의 후보가 대거 국회에 진출하면 전국 공무원과 교원의 정치활동 전면 자유화, 교원평가제 폐지, 주한미군 철수 등을 주장할 것이고, 그런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려 할 때마다 최루탄이 터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있다”면서 “자칫 국회 전체가 통합진보당 소수에 의해 좌지우지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민주당 한명숙 대표는 선거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이번 선거를 ‘민생 대 색깔론의 대결’이라고 규정하면서 “새누리당 정권이 선거 때가 되니 고질병이 도졌다. 낡은 색깔론을 지금이라도 걷어치우라”고 요구했다.

둘째는 ‘미래전진론’과 ‘정권심판론’의 대결이다. 새누리당은 친노 진영이 전면에 포진한 야권을 ‘과거세력’으로 규정하고 이번 선거를 미래로의 전진이냐, 과거로의 회귀냐를 결정짓는 선거라 홍보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특히 민주당이 한·미 FTA나 제주 해군기지 등 노무현 정부에서 결정된 정책에 대해 ‘말바꾸기’ 한 것을 공격소재로 잡았다.

이에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은 이명박 정부에 대한 국민적 평가가 좋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 현 정부의 실정을 부각시키는 데 총력을 다하고 있다. 특히 대통령 주변 인물들의 부정부패 공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양당은 새누리당 선거를 진두지휘하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이 대통령과 한데 묶어 비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셋째, 야권연대 효과의 정도다.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은 후보단일화로 수도권 등지 격전지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4년 전 18대 총선에서 수도권 30여개 선거구가 1000표 안팎에서 승패가 갈린 점에 비춰볼 때 야권에 상당히 유리하게 작용할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그러나 야권 후보단일화 과정에 수도권 여러 곳에서 갈등이 빚어져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특히 야권이 똘똘 뭉쳐 승기(勝機)를 잡을 경우 보수성향과 영남출신 유권자들이 새누리당으로 재결집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 당초 예상됐던 ‘안철수 바람’과 재외국민 투표는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