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핵안보정상회의 폐막] 6시간 마라톤 회의… “北, 로켓 발사 저지” 한 목소리

입력 2012-03-27 21:58


1·2차 세션 주요 내용·발언

핵안보정상회의에 참가한 53개국 정상급 인사와 4개 국제기구 대표들은 27일 코엑스 3층 정상회의장에서 오전과 오후로 나눠 1, 2차 정상회의(세션)를 진행했다.

정상들은 전날 업무 만찬에 이어 1차 세션 2시간30분, 2차 세션 2시간, 업무오찬 1시간30분 등 무려 6시간이 넘는 강행군 끝에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마라톤 정상 회의=오전 9시30분부터 2시간 반 동안 진행된 1차 세션에서는 ‘핵안보 강화를 위한 국가 조치 및 국제협력’을 의제로 강도 높은 논의가 진행됐다.

이번 회의 의장인 이명박 대통령은 개막사를 통해 “핵무기 없는 세상과 핵테러 없는 세상을 실현하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면서 “여기 모인 정상들이 정치적 의지를 결집하면 이 꿈의 실현을 앞당길 수 있다”고 밝혔다. 직전 회의 의장 자격으로 이 대통령에게서 마이크를 넘겨받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핵안보를 위해 각국 정상들이 말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화답했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은 핵안보 합의를 지키기 위한 중국의 노력을 자세히 설명했다.

정상들은 원탁 테이블을 두고 빙 둘러 앉았고 이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 바로 옆에 나란히 앉았다. 후 주석은 이 대통령 자리에서 오른쪽으로 세 번째, 오바마 대통령 자리에서 오른쪽으로 두 번째에 자리 잡았다. 입국이 늦어져 회의 첫날 리셉션과 업무 만찬에 불참했던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와 빅토르 야누코비치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이날 회의에 합류했다.

◇한·미·중·일 “광명성 3호 발사 저지” 한목소리=관심을 모았던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문제는 이번 정상회의 공식 의제에서는 제외됐다. 각국 정상들이 회의 주제인 핵물질 감축 및 핵안보 체제 구축과 직접 관련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북핵 6자회담 당사국인 미국 중국 일본 등 3개국은 한목소리로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 저지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노다 총리는 후 주석과 별도 정상회담을 갖고, 중국과 협력해 북측에 로켓 발사를 강행하지 않도록 강력히 촉구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일본 관리들이 전했다. 이에 후 주석은 중국 역시 이 문제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다 총리는 오바마 대통령과도 만나 북한의 로켓 발사 포기를 위해 공동 협력키로 합의했다. 앞서 노다 총리는 이 대통령과의 짧은 양자 정상회담에서도 같은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마리오 몬티 이탈리아 총리와 줄리아 길라드 호주 총리, 제이컵 주마 남아공 대통령, 헬레 토닝 슈미트 덴마크 총리 등 4명도 이 대통령과 각각 양자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가 명백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인 만큼 즉각 중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토닝 슈미트 총리는 26일 비무장지대(DMZ) 방문 소감을 소개하면서 “덴마크뿐 아니라 유럽연합(EU)이 한국의 대북 정책을 적극 지지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 북한을 화두로 피날레 장식=이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의장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관련된 내용을 집중적으로 언급했다. 그는 먼저 “북한이 한반도 평화·안정에 합의한 뒤 경제개방 조치를 취한다면 이른 시간 내 중국과 베트남을 따라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면서 “북한이 개방할 경우 한국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것은 북한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해야 될 사안이지 대한민국 정부나 대한민국 대통령이 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단서를 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어 북핵 문제를 화두에 올려 “북한 핵을 당장 포기시키긴 어렵다고 본다. 우리(정부)는 꾸준히 노력해왔다. 북한 스스로 판단하고 깨달았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석유 가스 석탄은 기후변화 요인이라는 위험을 안고 있다”면서 “현재 상황에서 클린 에너지는 그래도 원전밖에 없다는 게 오늘 모인 국가들 의견”이라며 미래 에너지로서의 원자력 위상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는 “핵안보 차원에서 원전 안전도 지키는 게 굉장히 필요하다. 세계가 핵무기 유출뿐 아니라 원전의 안전에 대해서도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