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수 “靑 ‘사찰 은폐’ 개입 MB에게도 보고됐다”… “정일황 과장이 엄지 세우며 말해”

입력 2012-03-27 22:11


국무총리실 민간인 불법사찰 은폐에 청와대가 관여한 내용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보고됐고, 그 이후 민정수석실에서 관련자들을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시작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이 증언이 사실이라면 청와대가 불법사찰 증거인멸에 조직적으로 개입했고, 그 윗선이 대통령까지 닿아있다는 것으로 큰 파장이 예상된다.

장진수(39) 전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은 27일 한 인터넷 팟캐스트에 출연, “중앙징계위원회가 열리기 전후에 정 과장님이 엄지손가락 세우면서 ‘VIP(대통령)한테 보고가 됐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정일황 과장은 장 전 주무관의 직속상관인 진경락 전 기획총괄과장 후임이다. 이에 대해 정 과장은 “청와대가 개입한 사실이 없다”며 “장 전 주무관이 오해한 것 같다”고 말했다.

장 전 주무관은 또 “민정수석실에서 이 사건으로 재판받고 있는 7명을 관리해주는 담당자가 정해져 있다고 들었다”며 “저를 관리한 분은 장석명 비서관”이라고 전했다. 그는 청와대가 공기업 임원을 통해 자신의 민간 취업을 알선하려 했다고도 주장했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의 개입 의혹도 증폭되고 있다. 의혹의 근거는 임 전 실장이 관련됐을 수 있는 세 갈래의 자금 흐름이다. 첫째, 청와대 직속 라인이다. 장석명 공직기강비서관은 지난해 4월 류충렬 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을 통해 장 전 주무관에게 5000만원을 건넸다. 이영호 전 고용노사비서관도 2011년 8월 공인노무사 이모씨를 통해 장 전 주무관에게 2000만원을 건넸다. 검찰은 27일 이씨를 불러 자금 출처와 돈 전달 경위 등을 조사했다.

둘째, 고용노동부 라인이다. 이동걸 고용부 장관 정책보좌관이 2011년 8월 장 전 주무관에게 변호사 비용 4000만원을 현금으로 전달했다. 이 보좌관은 돈을 건네기 2개월 전까지 임 전 실장을 장관으로 보좌했다는 점에서 그의 지휘를 받았을 수 있다.

셋째, 총리실 라인이다. 임 전 실장은 2011년 9월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과 진 전 과장에게 명절 금일봉을 전달했다. 두 사람이 불법사찰 및 증거인멸 혐의로 처벌 받은 것에 대한 위로금 성격이 짙다. 따라서 임 전 실장이 당시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을 중심으로 이뤄진 불법사찰의 전반적인 상황을 이미 파악하고 있었다는 정황증거가 될 수 있다.

검찰은 임 전 실장에 대한 조사 여부는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건 관련자들의 진술과 계좌추적 결과가 나오면 임 전 실장 조사는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진 전 과장도 이번 사건의 핵심 인물로 부상하고 있다. 장 전 주무관은 언론 인터뷰에서 “검찰이 2010년 7월 총리실을 압수수색할 때 확보하지 못했던 노트북을 진경락씨가 가져갔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진 전 과장에게 27일 참고인으로 소환을 통보했으나 불응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