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日 총리가 아는 ‘위안부’의 진실은 뭔가
입력 2012-03-27 18:28
일본의 노다 요시히코 총리가 2012 핵안보정상회의에 얼굴만 비추고 떠났다.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등 양국 사이의 현안이 많은데도 정상회담 없이 서둘러 귀국한 것이다. 자국 내 국회일정 등을 이유로 들고 있으나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나라의 수반이 그렇게 좁은 동선을 선택한 데는 사정이 있을 것이다. 그런 일본 총리의 행보에서 우리는 일본 우경화의 불편한 징표를 읽는다.
노다 총리는 26일 참의원에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된 평화비에 쓰인 ‘일본군 성적 노예 문제’라는 표현에 대해 “사실과 크게 다르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알다시피 평화비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천 번째를 맞이함에, 그 숭고한 정신을 잇고자 평화비를 세우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영어 표현에서는 ‘위안부’를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고 번역했다. 이런 내용을 가지고 사실을 왜곡했다고 주장한다면 노다 총리가 아는 ‘위안부’의 실체는 과연 무엇인지 묻고 싶다.
노다 총리의 발언은 양국 관계의 험로를 예견하는 전주곡이기도 하다. 어제 발표된 고교 교과서 검정결과 독도를 일본땅이라고 왜곡하는 교과서가 늘어났다. 4월 6일 발표할 외교문서에서도 다시 그 흘러간 레코드를 틀 모양이다. 25일에는 일본 극우단체가 도쿄 한국대사관 건물 앞에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내용의 말뚝을 기습 설치했다가 철거됐다. 24일에는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일본관광 홍보행사에서 동해와 독도를 ‘일본해’와 ‘다케시마’로 표기한 한글지도가 배포돼 물의를 빚었다.
일본은 이제 자국내 지식인의 가르침을 경청할 필요가 있다. 아사히신문의 와카미야 요시부미 주필은 최근 칼럼에 “아무리 집회를 해도 일본대사관에서 상대해 주지 않아 한을 품은 채 세상을 떠나는 할머니들을 그대로 두는 것을 차마 눈 뜨고 볼 수 없다”고 적었다. 이명박 대통령도 지난해 12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양국 간 협력을 추진하기 어렵다”고 밝힌 바 있다. 과거의 아픔을 두고 미래로 나갈 수는 없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