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석 前행정관 29일 소환·수상한 돈 계좌추적… “관심은 윗선” 청와대 겨눈 檢 칼끝
입력 2012-03-26 23:57
국무총리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사건을 재수사 중인 검찰의 칼날이 청와대를 향하고 있다. 불법사찰을 지휘하거나 증거인멸을 지시한 의혹이 있는 청와대 핵심 관련자에게 소환을 통보하고, 의심스러운 자금 흐름을 추적하는 등 본격적으로 청와대 ‘윗선’을 겨냥할 태세다.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박윤해 형사3부장)은 오는 29일 오전 10시 최종석(42) 전 청와대 고용노사비서관실 행정관을 피내사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고 26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최 전 행정관에게 소환 일정을 통보했으며, 조만간 귀국해 조사받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최 전 행정관은 장진수 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 주무관에게 증거인멸을 지시한 의혹을 받고 있는 핵심 인물이다. 장 전 주무관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검찰의 압수수색이 있기 이틀 전인 2010년 7월 7일 최 행정관으로부터 ‘민간인 사찰을 맡았던 점검1팀과 진경락 과장의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없애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혔다. 최 전 행정관은 또 장 전 주무관에게 변호사 비용 4000만원을 마련해준 의혹도 받고 있다. 장 전 주무관은 이 같은 의혹을 뒷받침해줄 최 전 행정관의 육성파일을 26일 검찰에 제출했다. 최 전 행정관은 지난 2010년 수사 당시 검찰에 소환되지 않고 호텔에서 방문조사를 받아 봐주기 수사 논란이 일었다. 최 전 행정관은 현재 주미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하고 있다.
검찰은 자신이 총리실 자료 삭제를 지시한 ‘몸통’이라고 밝힌 이영호 전 비서관도 이르면 이번 주 중 소환할 방침이다. 이 전 비서관 소환 시점은 최 전 행정관 소환 이후가 될 전망이다. 검찰 관계자는 “우리의 관심은 결국 증거인멸의 윗선이 누구냐, 그 연장선상에 있는 사찰의 윗선이 누구냐에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청와대 개입여부 및 윗선 규명에 필요한 확실한 물증을 확보하기 위해 자금흐름을 면밀히 추적하고 있다. 장 전 주무관이 제출한 녹취록이나 육성파일도 있지만 재판부로부터 증거능력을 인정받지 못할 수 있어 청와대 관계자가 연결된 거래 계좌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특히 이 전 비서관이 장 전 주무관에게 전달한 2000만원과 장석명 청와대 민정수석실 공직기강비서관이 건넨 5000만원의 출처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검찰이 장 전 주무관에게 총리실의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 관행을 인수인계한 전임자 김모씨를 26일 불러 경위를 조사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