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예보지원단·영진위 등 11개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 확대 실적 ‘0’

입력 2012-03-23 19:05

정부의 독려에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 실적이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8월 109개 공기업·준정부기관 중 2008∼2010년 지역인재 채용비율이 30%를 밑돌았던 42곳을 대상으로 채용확대계획을 밝혔다. 이 중 13곳은 30% 목표달성 시한을 2011년 하반기, 14곳은 2012년, 15곳은 2013년 상반기까지로 잡았다.

하지만 재정부가 23일 발표한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확대 계획 실적 점검 결과’에 따르면 30% 달성 시점을 지난해 하반기로 계획한 13곳 중 목표를 달성한 곳은 7곳에 불과했다. 우체국예금보험지원단과 영화진흥위원회는 채용실적이 0%, 한국방송공사는 10%에 그쳤다. 한국과학창의재단(23.1%), 한국장학재단(22.2%), 인천국제공항공사(29.3%)도 30% 미만이었다.

2012년 및 2013년 상반기까지를 목표로 삼은 29곳 중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독립기념관, 한국시설안전공단 등 9곳은 조기 달성했으나 아직까지 채용비율이 0%에 머물러 있는 곳도 9곳이나 됐다.

재정부는 이번 점검결과를 바탕으로 실적이 미흡한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채용확대를 더욱 독려키로 했다. 아울러 재정부는 2012년부터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시작되는 만큼 기관별 채용실적을 지속적으로 점검·발표해 지역인재 채용확대를 적극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고용노동부와 16개 광역차치단체는 대구에서 ‘2012년 1분기 지역고용정책협의회’를 열고 ‘지역일자리공시제 평가 개선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지역일자리공시제는 자치단체장이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와 대책을 직접 공시하고 고용부가 자치단체의 일자리 대책이 원활히 추진되도록 지원하는 제도로 3월 현재 244개 자치단체 중 234개(95%)가 참여하고 있다.

협의회에서는 “자치단체 유형 중 특별시·광역시와 도 간 지역여건 차이가 크기 때문에 양자를 구별해 평가해야 한다” “자치단체와 고용센터의 연계강화 방안이 필요하다” 등의 지적이 나왔다.

조용래 기자 choy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