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재산공개 내역] 고위공직자 10명 중 6명 재산 ↑… 50억 이상 보유자 94명

입력 2012-03-23 19:02


지난해 입법·사법·행정부 고위 공직자 10명 중 6명은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0억원 이상 자산가도 94명이나 됐다.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3일 공개한 2011년 12월 31일 현재 고위직 재산변동(재산총액 기준) 신고내역에 따르면 공개 대상자 2329명 중 1399명(60.1%)이 1년 동안 재산을 불렸다.

대통령을 비롯한 국가 정무직, 고위공무원단 가등급, 공직유관단체장, 기초·광역단체장, 광역의원, 시·도 교육감 등 행정부 고위공직자 1844명 중 재산 증가자는 62.2%인 1147명이었다.

국회의원 등 입법부에서는 52.8%인 172명이, 사법부에선 50.3%인 80명이 각각 재산을 증식시켰다.

행정부 공직자들의 신고재산 평균은 11억8200만원으로 전년보다 200만원 증가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해 ‘자이드 국제환경상’ 상금 수령 등에 따라 이 대통령과 김윤옥 여사의 재산이 3억원 이상 증가한 57억9967만원이었다. 김황식 국무총리는 5932만원 늘어난 11억849만원을 신고했다.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장은 309억6969만원으로 행정부 공직자 중 재산이 가장 많았다.

행정부에서 재산총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고위직은 박원순 서울시장이었다.

박 시장은 선거비용보전금 등으로 채무 일부를 상환해 재산이 32억991만원 늘었다. 재산총액은 여전히 마이너스 3억1056만원으로 부채가 많았다.

국회의원들의 재산 평균 신고액은 25억8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고 총액이 1000억원 이상인 새누리당 정몽준·김호연·김세연 의원 등 기업인 국회의원 3명을 제외한 것이다. 정 의원은 지난번보다 1조6481억원이 줄었지만 전체 공직자 중 가장 많은 2조227억원을 신고했다.

사법부는 재산공개 대상자 159명의 평균 재산이 21억9480만원이었다. 최상열 서울고법 부장판사는 139억217만원을 신고해 지난번에 이어 이번에도 사법부에서 가장 많은 재산을 보유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고위직들의 재산 증가 요인으로 부동산 공시가격 상승, 급여·저축 증가 등을 꼽았다. 재산 감소의 주된 요인은 주식평가액 하락이었다.

김용백 기자 yb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