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북한내 미군유해 발굴 중단… 대북 강경대응 메시지인 듯

입력 2012-03-22 18:42

미국 정부가 북한의 광명성 3호 위성 발사 계획에 항의해 북한 내 미군 유해 발굴 활동을 중단키로 했다. 이번 조치는 북한이 지난주 광명성 3호를 발사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미 정부의 첫 공식 대응으로, 오바마 행정부가 유화책보다는 강경 대응 쪽으로 입장을 정리하고 있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국은 대북 식량지원 계획도 취소될 것임을 강력히 시사해 북한과 미국 간 어렵게 이룬 지난 2·29합의가 사실상 파기 위험에 처했다.

조지 리틀 국방부 대변인은 21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갖고 “로켓 발사계획을 포함한 북한의 최근 도발적인 행동들 때문에, 한국전 때 희생당한 미군의 유해 발굴팀을 북한에 이달 중 보내려던 계획을 우선 중단했다”고 밝혔다.

리틀 대변인은 “북한이 최근 적절하게 행동하지 않았다고 믿기 때문에 유해 발굴 노력을 중단했다”면서 “북한이 국제 사회가 요구하는 행동 규범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미국은 일정한 시기에 미군 유해 발굴에 다시 나서게 되기를 바란다”면서 “하지만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려 하고, 한국에 대한 호전적 발언을 계속하며, 도발적 행위를 멈추지 않는 한 유해 발굴 활동을 하기엔 적절한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특히 존 커비 국방부 수석대변인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하면 국제적 임무를 위배하게 되는 것인데도 미사일 발사를 계속 추구할 경우 다른 반향들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강조, 북의 미사일 발사가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 계획과 연계될 수 있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워싱턴의 소식통은 “미국은 참전실종자(MIA)의 유해 송환을 국가의 첫 번째 의무로 생각한다”며 “7년 만에 어렵게 재개된 유해 발굴 기회를 스스로 포기한 것은 신뢰를 저버린 북한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 표시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