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黨 사유화 박근혜, 총선 무한책임져야”
입력 2012-03-18 19:18
새누리당 정몽준 전 대표가 18일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4·11 총선 무한책임론’을 제기했다. 그간 공천 과정을 비판해 온 그가 한 발 더 나간 것이다. 그래서 당 안팎에서는 여권 내 차기대선주자를 놓고 박 위원장과 경쟁 관계에 있는 정 전 대표가 사실상 경선을 겨냥한 행보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 전 대표는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박 위원장은 쇄신과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천, 도덕성 공천,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을 초월한 당내 화합을 약속했었다”며 “그러나 비대위 활동이 3개월이 지나고 공천이 마무리되는 이 시점에 새누리당의 공천은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 왜 비대위를 만들었고 무엇을 위해 쇄신했는지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또 “새누리당은 많은 국민에게 희망을 주기보다 특정인을 위해 당의 권력을 사유화하는 데 골몰하고 있다”면서 “분열하면 모두 죽는다는 식으로 압박을 가하며 당내 비판세력을 제거하고 입맛에 맞는 인물들로 그 자리를 채우고 있다”고 박 위원장에게 직격탄을 날렸다.
정 전 대표는 “지금의 공천과정은 총선이야 어떻게 되든 대선후보 경선을 위해 자기 사람을 심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며 “자신에게 유리하면 원칙을 들먹이고 불리하면 침묵하는 것은 위선이고 거짓이다. 지금이라도 사당화 차원의 잘못된 공천에 대해서는 박 위원장이 책임지고 시정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선거에서 질 경우 새누리당은 책임론의 후폭풍 속에 존폐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며 “박 위원장이 비대위를 쇄신하고 또 개인이 아니라 당을 위해 새롭게 출발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그렇지 않으면 당을 사유화하고 있는 박 위원장은 총선 결과에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전 대표는 무한책임과 관련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공천이 ‘계파 공천’ ‘대선 경선용 공천’으로 이뤄졌으니, 총선에서 패배할 경우 박 위원장이 이에 상응하는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게 정 전 대표 요구인 셈이다.
정 전 대표는 “비대위는 적어도 당 정체성에 부합하는 사람으로 구성돼야 한다”며 “최고위원회를 대체하는 기구라면 그 구성원은 외부에서 왔더라도 지금은 당원이 됐어야 한다. 만약 입당하지 않은 비대위원이 있다면 입당절차를 밟거나 사퇴하는 것이 정치 도의적으로 최소한의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 독주 견제 및 당내 민주화를 위한 당 중진회의 부활도 요구했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