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81년 美 정찰기 北미사일 공격때 강경대응 촉구… 외교부 공개 ‘외교기밀 문서’ 내용

입력 2012-03-18 19:01

1981년 주한미군 정찰기 SR-71이 북한 미사일로부터 공격받았을 당시 우리 정부가 미국에 강경 대응을 촉구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또 북한은 1960년대부터 제3세계 국가의 게릴라 요원 6000여명을 자국으로 불러들여 훈련을 실시하고 자금지원까지 한 사실이 드러났다.

외교통상부가 18일 공개한 81년도 외교문서에 따르면 그해 8월 26일 미 공군 소속 고공 정찰기 SR-71 ‘블랙버드’가 정찰 업무를 위해 한국 영공을 비행하던 중 북한 미사일 공격을 받았다.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정찰기로부터 수마일 빗나가 공중 폭발했고, 조종사는 이를 목격한 뒤 무사히 기체를 착륙시켰다.

이에 미 국무부는 다음 날 항의성명을 발표하고 미사일 발사 사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딘 피셔 국무부 대변인은 이 같은 입장을 중국과 소련을 통해 북측에 전달하고 재발방지 협조를 요청했다.

우리 정부는 미국 측에 강경한 대응자세를 유지할 것으로 촉구하고 일본 측에는 동북아 안보를 위한 대한(對韓) 경협확대 등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했다. 그러나 일본은 이 사건을 미국과 북한의 양자 간 문제로 돌리고 직접 관계가 없음을 강조했다.

당시 주일 대사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 사건과 관련해 미·북 간의 비난응수가 격화되는데 대해 일본 정부가 곤혹스러워하고 있다”고 외무성에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편 북한은 66년부터 71년까지 우루과이 과테말라 등 중남미 10개 국가에서 1300여명의 게릴라들을 입북시켜 게릴라 전법과 무기조작법, 군사훈련 등을 단기(3∼6개월), 장기(6개월∼1년)로 나눠 실시했다. 게릴라 훈련은 81년 8월 현재까지 모두 40개국에서 6100여명이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중남미 지역 무장군과 게릴라 활동을 돕기 위해 자금도 지원했다. 북한은 65년부터 73년까지 아르헨티나 출신 쿠바 혁명가인 체 게바라와 볼리비아 내 좌파세력에 28만 달러를 지원했다. 북한이 이 같은 게릴라 훈련과 자금을 지원한 것은 장차 이들이 각국 고위 간부로 성장해 친북 성향을 갖도록 하기 위한 장기 포석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70년대부터 정치적 지기기반을 획득하기 위해 지원대상을 파키스탄과 시리아 리비아 이집트 등 28개국으로 대폭 늘리고 지원규모도 무기와 광물 등으로 확대했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