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광명성3호 발사 예고] “정찰기능 강화·추적장비 가동”… 정부 당혹속 대책마련

입력 2012-03-16 23:30

북한의 광명성 3호 발사 계획에 정부는 당혹해했다. 북·미 2·29 합의에 따라 스스로 미사일 발사유예를 약속한 상태에서 북한이 이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행동에 돌입하려 하기 때문이다.

정부 관계자는 16일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김일성 주석 출생 100주년을 기념한 대대적인 축제가 아니라 장거리 로켓 발사를 시도할 것이라고는 예상치 못했다”면서 “광명성 1, 2호 발사 때보다도 지금 시점이 더 좋지 않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 발표 직후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주재로 관련 부처 회의를 열어 북한 의도와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북한이 공언한 만큼 일단 광명성 3호가 예정대로 발사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발사 전까지 중국이나 러시아 등을 통해 외교적인 압박을 가해 저지에 나설 계획이지만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6자회담 당사국을 포함한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며 26일 열리는 서울 핵 안보정상회의에서도 논의할 방침”이라며 “발사 후에는 유엔 안보리에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정찰기능을 강화하고 발사 성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광명성 3호 궤적 추적 장비를 가동하고, 파편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2009년 광명성 2호 발사 때 한국형 이지즈함 1호인 세종대왕함이 가장 먼저 궤적을 포착한 바 있어 이번에도 세종대왕함이 동원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대령을 반장으로 한 대응반을 구성했다. 군은 미사일 발사장소로 특정된 곳이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기지가 분명하다고 보고 이 기지에 대한 정찰감시도 대폭 보강할 방침이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