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품격 건강사회 만들기 토론회] 실효성 없는 식품이력추적제도

입력 2012-03-16 18:32


식품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식품의 생산부터 최종소비까지 전 과정의 정보를 담아 관리하는 식품이력추적제도가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실제로 식품이력추적관리제에 등록돼 있는 업체는 14곳(18개 공장), 155개 품목뿐이다. 2만여 개의 식품가공업체와 50만∼60만개에 달하는 외식업체수에 비교해본다면 턱없는 숫자다.

송성완 한국식품산업협회 식품안전부장은 “외식업체 모든 곳을 식품이력추적관리제로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정부 제도나 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자율적 관리가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최동미 식약청 식품관리과장은 “식품이력추적제도의 목적은 식품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원인을 규명하고 회수 등 필요한 조치를 통해 식품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직접적으로 이물 저감화 방안으로 연결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봉 쿠키건강 기자 ckb@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