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 처음 안 김수근 부산시의원 일문일답 “군내 음식점서 우연히 들어… 확인 않았다면 은폐했을 것”

입력 2012-03-15 18:58


고리원전 1호기의 지난달 9일 블랙아웃(대정전) 사고가 알려진 데는 김수근(52·기장군) 부산시의원의 순간적인 판단과 노력이 컸다.

사고 내용을 우연히 접한 김 의원은 원전 측에 진실을 밝힐 것을 계속 요구했다.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과 고리원전이 더 이상 덮을 수 없다고 판단, 뒤늦게 사고 사실을 공개하게 된 것이다.

김 의원은 “안전 불감증이 심각한 수준이다”며 고리원전 소장과 본부장, 한수원 사장, 장관 등 책임자들의 처벌을 촉구했다. 또 정보공개제도 개선, 모든 원전의 안전정밀점검 등을 주장했다. 다음은 김 의원과 일문일답.

-고리 1호기 정전사고를 언제 알게 됐나.

“지난달 20일 오후 7시쯤 기장군 내 한 음식점에서 옆 좌석 손님들로부터 ‘고리 1호기에서 정전사고가 났다. 디젤비상발전기도 가동되지 않았다는데 작업에 지장이 없는지 모르겠다’는 말을 들었다.”

-말을 한 사람은 누구며 어떻게 대처했나.

“복장으로 볼 때 고리원전 현장 노무자로 보였다. 수 차례 고리원전 측에 사실 확인을 요청했으나 ‘그런 사실 없다’는 답변이었다. 지난 8일 고리원전 경영지원처장을 만났다. 그 역시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일축했다.”

-사고의 조직적 은폐가 있었다고 보는가.

“내가 사실 확인을 요구하지 않았다면 조직적으로 은폐했을 가능성이 있다. 사고 은폐를 위해 대책회의를 했다고 들었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모든 책임자를 엄중 처벌해야 한다.”

-고리원전 1호기의 문제점은.

“지난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고리원전은 디젤비상발전기가 있어 10배 이상 안전하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제 아무것도 믿을 수 없다. 모든 발전소에 대한 안전점검이 시급하다.”

-이번 사고를 통해 개선해야 할 점은.

“현재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고리원전과 한수원, 정부가 정보를 공유하는 데 그친다. 앞으로 부산시, 기장군, 민간기구 등도 참여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제도가 대폭 개선돼야 한다.”

부산=글·사진 윤봉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