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보급 이래서야… CNG 충전소 70% 승용-화물차 ‘거부’

입력 2012-03-14 19:07


무공해 청정연료인 압축천연가스(CNG) 충전소들이 일반 승용차의 연료주입을 거부해 친환경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정부가 대기오염을 막기 위해 CNG 차량 확대를 장려하고, 차량 소유자들도 고유가 때문에 승용차를 CNG 겸용으로 개조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연료를 주입할 곳이 마땅치 않아 운전자들은 낭패를 보고 있다.

14일 한국천연가스차량협회에 따르면 전국 CNG 충전소 190여곳 중 70%에 가까운 130여곳이 CNG 겸용 승용·화물차에 충전을 해주지 않고 있다. 매출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번거롭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경우 충전소 90여곳 가운데 신용카드와 현금결제가 가능한 곳은 20여곳에 불과하다. 50여곳은 아예 진입을 통제하고, 나머지 20여곳은 보증금 50만원에 월 수수료 2만2000원을 내고 특정 카드를 발급받았을 때만 충전하도록 한다. 지방은 수도권보다 덜하지만 충전이 자유로운 곳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

충전소 측은 구조변경 차량의 충전금액이 2만원 안팎으로 적고, 시내버스 차고지를 겸한 충전소가 많아 버스의 왕래와 배차시간에 지장을 준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이로 인해 대당 500만원 정도를 들여 CNG로 개조한 운전자들은 충전소를 찾아 시간과 돈을 낭비하고 있다.

서울 노량진동 김동철(50)씨는 “휘발유 3분의 1로 연료비를 낮출 수 있다는 생각에 차량을 개조한 뒤 10여㎞ 떨어진 충전소에 갔으나 거부당했다”고 말했다. 인터넷 사이트 CNG코리아 김희곤(46) 대표는 “정부는 1990년대 중반부터 대기오염 방지와 에너지 절약을 위해 보급을 장려했지만 충전이 제대로 안 되는 현실을 방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NG자동차는 2007년 1만5000여대에서 지난해말 3만2000여대로 2배 이상 늘었다. CNG 승용차(2000㏄)는 2만원어치를 충전하면 시내에서 250㎞, 고속도로에서 300㎞를 달린다.

서울시 친환경과 천연가스차량팀 김영기(46) 담당은 “대기오염의 40%를 차지하는 배출가스를 줄이는 차원에서 CNG 사용은 바람직하지만 배차시간에 쫓기는 시내버스를 고려해 충전허용 여부는 자율에 맡기고 있다”고 말했다.

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