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산림 위기, 방관해선 안된다
입력 2012-03-14 17:58
북한의 산림이 지난 20년 동안 매년 12만7000㏊씩 사라졌다고 유엔 산하 세계식량농업기구(FAO)가 밝혔다. 해마다 평양시 만한, 또는 여의도 15배 면적에 해당하는 산림이 없어진 셈이다. FAO가 발표한 ‘2011 세계 산림현황’에 따르면 북한의 산림 면적은 1990년 전체 국토의 68%인 820만㏊였으나 2010년에는 566만㏊(47%)로 줄었다. 남한보다도 56만㏊ 적다. 남북한의 평야 대 산지 비율이 각각 3대7, 7대3임을 감안하면 북한의 산림 황폐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
산림 황폐화가 초래하는 폐해는 크다. 자원으로서 산림 자체가 가지는 효용성을 상실하는 것은 물론 홍수를 막아주는 이른바 ‘녹색 댐’으로서 자연 완충작용을 못하게 됨으로써 수해에 따른 식량난을 가속화시킨다. 이에 따라 북한은 산림 복구에 열성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식수절인 지난 2일에는 이례적으로 최고지도자 김정은이 나무를 심는 장면을 보도하는 등 매체를 총동원해 나무심기를 독려했다.
또 북한의 산림 녹화에는 우리 정부와 민간단체들도 관심을 쏟고 있다. 산림청은 지난해 10월 열린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제10차 당사국 총회를 계기로 종자 확보 등 대북 녹화지원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겨레의 숲’ 같은 민간단체도 양묘장 등 인프라 건설을 위한 외부지원을 호소했다.
그러나 북한 산림 복구는 무조건 나무를 심거나 외부에서 지원하는 것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근본적인 산림 훼손 이유를 제거해야만 가능하다. 북한에서 그토록 급속히 산림이 망가진 데는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연료난에 처한 주민들이 땔감용으로 나무를 마구 베어낸 데다 식량난을 덜기 위해 산지를 다락밭(계단식 밭)으로 개간한 탓이다.
따라서 주민들에게 나무 외의 대체연료를 제공하고 국가가 관리하는 구식 영농방식을 바꾸지 않는 한 산림 황폐화는 막을 수 없다. 그리고 이는 개혁·개방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 북한이 강성대국 원년의 가시적 성과를 보여주기 위한 겉보기만의 산림 녹화가 아니라 진정 산림 복구 의지를 가지고 있다면 길은 하나뿐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