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돌고래쇼 중단시킨 서울市의 즉흥행정
입력 2012-03-13 18:21
박원순 서울시장이 그제 서울대공원을 찾아 두 가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을 상대로 펼치고 있는 돌고래쇼는 동물학대이므로 중단한다는 것, 불법포획된 제주산 남방큰돌고래 ‘제돌이’는 구럼비 앞바다에 방사키로 했다는 것이다. 그동안 ‘제돌이’를 바다로 돌려보내라는 환경단체들의 요구를 들어준 것이다.
그러나 박 시장의 결정에는 문제가 많다. 동물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너나 할 것 없지만 특정 동물을 자연으로 돌려보낸다는 것은 한 개체의 문제로 끝날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박 시장도 “동물과 사람,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재검토하고 새롭게 설정하는 문제”라고 했다. 행정가가 즉흥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이야기다.
그런데도 박 시장은 쾌도난마식으로 접근했다. 그는 ‘제돌이’를 위해 2014년 6월까지 4억300만원을 투입해 제주도에 야생방사장을 만들고 돌고래의 이송과 사육, 연구 등에 4억4200만원 등 모두 8억7000만원을 들일 것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서 상황을 파악한 후 대책을 마련하려는 것이 아니라 이미 결론을 가진 채 발표현장을 서울대공원으로 정한 것이다.
절차의 문제도 있다. 돌고래쇼가 위험이 따르는 긴급현안이 아닌데도 일방적으로 중단시켜 놓고 공연 존폐를 놓고 토론회를 갖기로 했다. 서울시 의중을 공개해 놓고 여는 토론회가 무슨 의미가 있겠나. 불법포획과 동물학대를 구분할 필요도 있다. 제돌이는 애초에 불법포획됐지만 동물원이 정당한 거래를 통해 구입했다.
마지막으로 돌고래쇼의 문제가 과연 시장(市長)의 영역인지 묻고 싶다. 동물원은 어린이를 비롯한 공중이 상시적으로 이용하는 곳이다. 거기서 일어나는 일을 동물원 자체의 결정에 맡기지 않고 시장이 직접 나서 결정하는 것은 볼썽사납다. 돌고래를 놓고 이벤트 행정을 펴거나, 정치적으로 이용해서는 더욱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