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할권 주장 불용”-中 “담판으로 해결”… 김재신 외교차관보, 장신썬 주한대사에 공식 항의

입력 2012-03-12 21:58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蘇巖礁) 관할권을 둘러싼 한·중 간 외교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어선의 서해 불법조업과 탈북자 강제북송으로 마찰을 빚은 양국 관계가 더 꼬이는 양상이다.

류츠구이(劉賜貴) 중국 국가해양국장(장관급)은 지난 3일 관영 신화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쑤옌자오가 중국 관할 해역에 있다”며 이어도 관할권을 주장했다.

이 주장이 국내 언론에도 보도되자 외교통상부는 12일 장신썬 주한 중국대사를 서울 도렴동 외교부청사로 불러 공식항의하고 이어도 관할권이 우리 측에 있다는 단호한 입장을 전달했다.

김재신 외교부 차관보는 장 대사와의 면담에서 “이어도는 한·중 간의 배타적경제수역(EEZ) 경계 획정 전이라도 우리 측 관할 범주에 들어오는 수역에 위치한다”며 “중국 측이 관할권을 행사하려는 시도라면 수용할 수 없다”며 강하게 말했다. 당초 두 사람은 후진타오(胡錦濤) 주석의 방한 등 양국 현안을 논의하기로 했지만 이어도 관할권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문제가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앞서 외교부는 중국대사관 정무팀장을 초치한 자리에서도 “우리는 단호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의 중국 압박 수위는 당분간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대통령까지 나서 이날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중국 측의 관할권 주장을 반박해서다.

이어도 관할권 문제가 양국 갈등으로 비화되는 것은 이곳이 우리나라 남쪽 해상물류노선보호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다양한 해상 자원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1996년부터 중국과 EEZ 경계 획정 협상을 진행해오고 있으며 이와는 별개로 과학기지 건설과 해양조사 및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측도 물러서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국 외교부 류웨이민(劉爲民)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을 통해 “쑤옌자오와 그 인근 해역은 중국과 한국의 EEZ 중첩지역”이라면서 “이 지역 관할권 문제는 쌍방이 담판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현수 기자,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