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학생=소외계층’ 인식탈피, 공교육 틀 안에서 품고 맞춤형 지원
입력 2012-03-12 23:44
교육과학기술부가 12일 발표한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은 우리나라가 이제는 국가·사회적으로 다문화 학생을 끌어안을 다양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 됐다는 인식에서 나왔다. 주요 내용은 다문화 가정 학생을 공교육 체제 안에 끌어안고 맞춤형으로 지원한다는 것이다
2006년 4월 나왔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지원대책’ 등 기존정책은 다문화 학생을 ‘소외계층’으로 간주해 ‘지원’하는 성격이 강했다. 앞으로는 이들이 ‘다양한 학생 중 하나’로 일반 학생과 똑같은 조건에서 꿈을 펼칠 수 있도록 기초학력을 기르고 특성을 계발하는 쪽에 초점을 맞춘다.
◇다문화학생 실태=지난해 기준 국내 초·중·고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학생은 3만8678명이다. 초등학생이 74.1%로 대부분이다. 국내출생자녀 3만3999명 등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94.5%인 반면 외국인가정 자녀는 5.5%(1139명)에 그쳤다.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외국인 부모 국적은 일본이 3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과 필리핀이 각각 17%, 중국동포 15%, 베트남 6%, 태국 3% 순이었다.
교과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체 초·중·고교 학생은 매년 약 22만명 감소하는 반면 다문화학생 수는 6000명 정도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만 5세 이하 다문화가정 자녀가 모두 취학하면 현재 0.55% 수준인 다문화학생 비중이 2014년에 1.12%로 2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어교육 내실화=우리말에 서툰 다문화학생을 돕기 위해 단계별 ‘한국어교육과정(KSL·제2언어로서의 한국어)’을 도입한다. 다문화학생이 많이 다니는 학교에서는 KSL을 정규과목이나 특별학급 형태로 운영한다. 학교에서 학생의 한국어능력을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인 한국어능력시험(J-TOPIK)도 개발한다. 교과부는 올해 안에 KSL 교육과정, 진단도구, 교재개발을 마치고 내년부터 전면 시행할 예정이다. 다문화학생 맞춤형 교육과 상담이 가능한 이중언어 강사는 지난해 125명에서 2015년 1254명으로 10배 이상 늘어난다. 교과부는 이중언어 강사 1인당 다문화학생 수를 지난해 310명에서 2015년 50명으로 대폭 낮출 계획이다.
◇입국부터 졸업까지 원스톱=다문화 학생은 입국과 입학부터 졸업·진학까지 체계적 지원을 받는다. 교과부는 올해 다문화학생 전담 코디네이터 26명을 확충해 19명은 시·도교육청에, 7명은 법무부 출입국관리사무소에 배치한다. 다문화 학생이 외국인 등록을 하거나 국적을 취득할 때 코디네이터가 입학 절차를 안내한다. 개인정보 제공 동의를 받아 교육청이 코디네이터와 연결해 준다. 코디네이터는 평생교육기관과 연계해 학교 밖 다문화 학생을 발굴해 입학을 돕는다.
임항 기자 hngl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