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59% “뉴타운 정책탓 사업 타격 우려”

입력 2012-03-11 19:35

최근 서울시의 뉴타운 정비·해제 등 주택정책 전환에 많은 건설사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사업 차질과 타격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매출액 상위 100대 건설사를 상대로 조사한 결과 서울시의 주택정책 변화로 사업추진에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본 업체는 전체의 59%였다고 11일 밝혔다.

예상하는 피해액으로는 50억원 미만이 29.7%(19개사)로 가장 많았다. 50억∼100억원(23.4%), 100억∼500억원(10.9%), 500억∼1000억원(7.8%)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의 87%는 세입자 보호와 공공성을 강조하는 정책 방향이 ‘기본적으로 옳거나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목표’라고 답했다. ‘뉴타운 옥석가리기’와 관련해서는 절반 이상(54%)이 추진이 불가피하다고 봤다.

대한상의는 “부동산경기 침체로 주택사업이 위축된 상황에서 서울시가 규제강화로 선회하는 듯한 조짐을 보여 건설업계가 당혹스러워하고 있다”며 “택지가 부족한 서울의 특성상 뉴타운, 재건축사업의 위축은 수급불안을 가져오고 장기적으로 주택난을 유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서울에서의 주택사업 계획과 관련한 물음에 ‘공급을 줄이겠다’는 응답이 34%로 ‘늘리겠다’는 답(3%)의 10배가 넘었다.

또 서울시 주택정책이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어지면 ‘뉴타운과 재건축에 악영향’(36%)을 줄 뿐 아니라 ‘부동산시장 전반에 타격을 줄 것’(43%)으로 건설업계는 예상했다.

대한상의는 “뉴타운·재건축사업 등은 장기간이 걸리고 규모가 커서 정책의 일관성과 예측가능성이 중요하다”며 “실효성 있는 지원대책 마련, 탄력적 정책운용 등 주민 반발과 건설업계의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신종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