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따라 활동 기독의원 낙선운동 옳은가?… 불교계 4가지 주장에 반론
입력 2012-03-11 18:49
①신앙 따라 활동 기독의원 낙선운동 옳은가?
②창조론 외면하며 증명할 수 없는 진화론 옹호 잘못
③사랑의교회 새 성전 건축허가 전에 모든 절차 마쳐
④소망교도소는 기독교적 가치관 함양 목적으로 설립
불교계가 ‘정교분리’를 명분으로 44년 전통을 갖고 있는 국가조찬기도회 폐지를 주장하는 등 기독교계에 대한 공세를 강화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그동안 현 정부가 ‘종교편향’을 했다며 비판, 반사이익을 챙겨온 불교계는 최근 서울 장충동 만해NGO교육센터에서 ‘정치와 종교, 뗄 수 없는가’를 주제로 국가조찬기도회의 정당성 등에 대해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에 대해 기독교계는 불교계의 주장에 민감해 하면서 오히려 ‘기독교 폄훼’라는 입장을 보였다. 불교계 4대 주장에 대한 기독교계의 답변을 들어봤다.
①국가조찬기도회는 정교유착의 산물이다?=“헌법의 ‘정교분리의 원칙’은 국가가 어떤 종교를 특별히 보호하거나, 특권을 부여하거나 지원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또한 헌법의 ‘종교의 자유’는 원하는 종교를 원하는 방법으로 신봉할 자유를 말한다. 최근 불교계는 기독 정치인으로서 소신껏 자기 신앙 양심에 따라 의정 활동하는 국회의원들의 이름을 거명하며 낙선대상자로 지명하여 발표하는 것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행동이다. 이제 더 이상 불교계가 기독교 고유 신앙의 다양한 형태 중 하나인 국가조찬기도회를 두고 왈가왈부하는 것은 옳지 못하며, 국민화합을 위해서라도 다종교사회에서 좀더 성숙된 종교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고유한 신앙 활동을 존중하는 품격을 갖추어야 한다.”(국가조찬기도회)
②한국교회 창조론자(또는 지적설계론자)는 정교유착에 호감을 갖는다?=“전형적인 안티 기독교의 주장이다. 중세시대엔 천동설을 신앙처럼 믿었다. 성경에는 천동설에 대한 단한마디 언급이 없다. 그럼에도 천동설에 대한 세계관은 무수히 많은 과학적 증거를 가진 지동설을 오랜 기간 받아들이지 못하게 했다. 지금은 진화론 세상이다. 창조론이나 지적설계론이 많은 증거를 이야기해도 진화론의 세계관을 가진 사람들은 아예 쳐다보려고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창조론과 진화론은 둘 다 증명할 수 없는 기원과학의 분야이다. 따라서 성경적 창조론과 진화론을 과학처럼 학생들에게 가르쳐서는 안 된다.” (교과서진화론개정추진회)
③사랑의교회는 새 성전을 건축하면서 특혜를 받았다?=“일부에서 제기하는 로비설 주장에 대해 안타까움을 갖고 있다. 고도제한 해제와 교통영향 평가 면제, 공동도로 지하면 사용, 지하철 출입구 독점사용 등의 특혜를 받았다는 억측과 부당한 시비에 대해 사랑의교회는 묵묵히 교회의 역할과 사명을 충실히 감당해 왔다. 이는 사실과 다르며 규제 조건에 따라 고도 제한을 받았고 교통영향 평가 면제는 건축 허가 전에 모든 절차를 진행했다. 또 교회는 도로점용료를 지불했고, 지하철 출입구 사용은 현재 구체적으로 결정된 사안은 아니다.”(사랑의교회)
④기독교 민영교도소 직원채용에 종교표시가 ‘종교편향’이다?=“불교계의 주장은 소망교도소가 기독교 재단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것이라 하더라도 국가에서 일부 운영비를 받기 때문에 특정 종교인만 채용하려는 것은 ‘종교편향’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주장은 잘못이다. 재소자들을 기독교적 가치관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멘토가 될 사람들이 기독교인이어야 함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은 현재 2008년부터 불교계에 의해 주장하는 ‘종교편향’ 이라는 말 때문에 오히려 ‘종교의 자유’와 ‘의사 표현의 자유’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또 사회 전반에서 불교계의 눈치나 보는 ‘종교 기형적인’ 나라가 되고 있다. 불교계의 걷잡을 수 없는 ‘시비’와 ‘종교간 평화를 깨는’ 일에 기독교계는 물론 언론과 정부기관, 정치권도 바른 인식을 통해 이런 억지가 통용되지 않도록 조치해야 한다.”(한국교회언론회)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