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뉴타운 조정 큰 성과…조정관 2배 늘려
입력 2012-03-09 21:42
서울시가 뉴타운·정비사업구역 갈등조정 대상지역을 확대하고 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갈등조정관을 2배 이상 늘리는 등 뉴타운 출구전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시는 9일 뉴타운 갈등조정지원팀 주관으로 민간전문가 18명으로 구성된 갈등조정관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뉴타운 출구 실행전략을 마련했다.
갈등조정관들은 지난 1월 말 뉴타운 출구전략을 발표한 뒤 종로 옥인1구역·창인숭신지구, 용산 한남1구역, 동대문 제기5구역, 성북구 성북3구역, 영등포 신길16구역 등 4개 자치구 6개 구역에서 21차례 조정활동을 벌여 왔다. 자치구, 추진위(조합)·비상대책위원회사무실 등을 방문해 갈등 당사자 의견청취하고 면담조사를 했다.
조정관들은 “뉴타운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주민들 사이에 갈등의 골이 너무 깊어 당사자간 신뢰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조정관들은 따라서 주민들이 현장 조정활동에 대해 대부분 호의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속 깊은 이야기도 털어놓고 있어 이를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조정관들의 활동이 해당지역 주민들의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면서 추가로 조정대상 지역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구하는 지역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조정대상 구역을 10여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갈등조정관도 40명 정도로 증원하고 필요할 경우 100명 선까지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시는 최근 여러 반응들을 종합해 볼 때 뉴타운·정비사업구역 출구전략이 본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고 ‘주거재생지원센터’와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정활동을 지속할 계획이다. 또 정비사업 정보제공, 교육홍보, 컨설팅 분야로 업무를 확대해 주거재생지원센터를 전문기구로 발전시켜 사회시스템의 하나로 활용한다는 입장이다.
주택정책실 김승원 공공관리과장은 “갖가지 갈등으로 해결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뉴타운·정비사업구역에서 갈등조정관이 지역 상황에 맞은 해결책을 찾고 있다”면서 “그러나 총선을 앞두고 있는 시점이어서 갈등 당사자들과의 면담 과정에 불필요한 의사표시를 배제해야 하는 등 여전히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김칠호 기자 seven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