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진보 야권연대 ‘경선지역 수’ 싸고 진통

입력 2012-03-09 18:52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4·11 총선 연대가 막판 진통을 겪고 있다. 양측은 협상이 결렬된 데 대해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등 비난전을 펴고 있다.

양측 협상대표인 박선숙 민주당 의원과 이의엽 통합진보당 정책위의장은 9일 새벽까지 이어진 철야 협상에서 전략지역에 대해선 어느 정도 합의를 이뤘으나 경선지역 수를 놓고 팽팽한 대립을 보여 논의를 중단했다. 이에 따라 당초 8일에 협상을 끝내겠다는 약속은 지키지 못하게 됐다.

양당은 최대 쟁점이었던 전략지역은 수도권 6곳을 포함한 12곳 안팎으로 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수도권의 경우 서울 노원병(노회찬), 경기 고양 덕양갑(심상정), 경기성남 중원(윤원석), 경기 의정부을(홍희덕), 파주을(김영대), 인천 남구갑(김성진)에서 통합진보당 후보가 나서기로 했다.

당초 전략지역 확정이 유력했던 천호선 통합진보당 대변인의 서울 은평을은 민주당 예비후보들의 반발에 천 대변인이 경선을 수용했고 이정희 통합진보당 공동대표가 출마한 서울 관악을도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그러나 다른 경선지역에서는 양측이 한 치의 양보도 없었다. 민주당은 약 30곳에서만 경선을 실시하자고 주장한 반면 통합진보당은 90∼100곳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맞섰다.

민주당은 무공천 지역에서 상당부분 양보한 만큼 경선지역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입장인 데 반해 통합진보당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경선 지역구를 최대한 많이 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민주당 한명숙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타결 직전까지 갔던 협상이 통합진보당의 거듭된 무리한 추가요구로 난항에 빠진 데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통합진보당 내의 복잡하고 어려운 사정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저희도 살점을 도려내는 아픔과 고통으로 결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통합진보당 이 공동대표는 라디오에 출연해 “원래 수도권 60∼70여곳, 전국적으로 90∼100곳에서 경선하는 것으로 잠정합의가 됐었고 민주당이 보내온 초안도 그것이었는데 뒤늦게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고 반박했다. 통합진보당 심상정 공동대표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이 양보는 최소화하면서 경선지역을 줄여달라는 건 사리에 맞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시민사회대표단으로 구성된 비상시국회의 대표단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양당 대표가 협상 시한 내에 타결하지 못한 것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며 협상타결을 촉구했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