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 1년] 건물잔해 등 쓰레기 ‘산더미’ 2252만t 중 약 5%만 처리
입력 2012-03-08 22:08
지진 발생 1년이 다가오는데 피해 복구는 지지부진하기만 하다. 일본 현지 언론과 외신들을 통해 전해진 피해 현장은 을씨년스런 풍경에서 별반 나아지지 않았다. 가옥들이 사라진 곳은 공터로 남은 채 건물 잔해더미가 산을 이루고 있다. 거대한 해일에 밀려왔던 어선들이 방치된 곳도 한두 곳이 아니다.
대표적 미항으로 꼽혔던 미야기(宮城)현 게센누마(氣仙沼) 항구엔 파괴된 부두시설이 방치되고 있다. 중심가에는 땅으로 밀려온 60m 길이 거대한 배가 흉물스런 모습으로 남아있다. 바다에서 1㎞ 넘게 떨어진 파출소 부근을 비롯한 곳곳에 어선이 누워있다.
1만1266명이 사망·실종되고 8만3866호의 가옥이 전파된 최대 피해지역인 미야기현은 2016년 3월까지 해안지역에 주택 1만2000호를 지을 계획이지만 부지확보난 등으로 공사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미야기현에 이어 피해가 컸던 이와테(岩手)현의 리쿠젠타카타(陸前高田)도 가옥이 대부분 쓸려가고 호텔과 시청 등 콘크리트 건물 수십 동만 남아 있다. 이와테현 오후나토(大船渡)시는 시내 전철역까지 휩쓸려간 상태 그대로다.
복구를 더디게 하는 원인 중 하나는 쓰레기 처리 지연이다. 미야기 이와테 후쿠시마(福島)현에서 발생한 쓰레기는 2252만8000t에 달한다. 이 중 지금까지 처리가 끝난 쓰레기는 약 5%인 117만6000t에 불과하다. 중앙 정부는 해당 지역의 쓰레기 처리 능력을 감안해 다른 지자체로 분산해 처리하려 하지만 방사성 오염 문제 때문에 순조롭지 않다. 급기야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가 지난 4일 쓰레기 처리에 협조하면 재정 지원을 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2014년 3월 말까지 쓰레기 처리를 마무리하려는 계획이 달성될지는 불투명하다.
피해복구를 조율하는 중앙조직인 부흥청이 내각 교체 등으로 대지진 발생 11개월 만인 지난 1월에야 겨우 출범한 것도 복구가 늦어지는 이유가 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복구를 위해 1차와 2차 추경예산 6조7000억엔을 편성했지만 집행된 액수는 55%에 머물고 있다. 해당 지자체가 인력 부족으로 예산 신청도 못하고 있으며, 정부 시책이 현장 상황과 맞지 않아 예산 배정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김의구 기자 e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