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더 전 美백악관 NSC 보좌관 “한국, 연평포격 직후 대규모 보복 검토”

입력 2012-03-08 20:15

제프리 베이더 전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담당 선임보좌관은 8일(현지시간) 연합뉴스에 공개한 자신의 회고록 ‘오바마와 중국의 부상’에서 2010년 한반도를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으로 몰고 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이후의 미국과 한반도 상황을 생생하게 소개했다.

그는 한국은 2010년 12월 연평도 훈련 당시 국지대응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의 보복(retaliation)을 검토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현장 군지휘관들에게 북한의 포격과 이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를 촉발할 수도 있는 비(非)비례적 대응 권한을 맡기는 방안도 준비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회고했다.

그는 당시 한국군이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포사격 훈련을 실시하겠다고 발표해 긴장이 높아졌다면서 “미국 입장에서는 한국에 대해 어떤 부분은 지원할 수 있고 어떤 부분은 할 수 없다는 점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상황이 통제 불가능한 수준까지 악화될 수 있다고 걱정했다”고 말했다.

이는 한국군이 포사격 훈련 과정에서 북한이 대응할 경우 확전을 감수하고 강도 높은 군사공격에 나서는 방안을 내부적으로 검토했으며, 이에 따라 미 정부도 최악의 경우 한반도에서 전면전이 발생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한국군이 당시 연평도 인근 해상에서 실시한 포사격 훈련에서 최소한 1발의 포탄이 북한 해역에 떨어지면서 한반도의 긴장감은 극도에 달했다고 그는 기억했다. 이와 관련, NSC 부위원회에서 한국군의 연평도 해상 포사격에 대한 논쟁도 벌어졌다고 소개했다.

그는 천안함 사태 이후 뉴욕 북미회담의 전격 취소와 관련, 성 김 당시 6자회담 특사를 통해 한국 측 반응을 파악한 결과 외교통상부에서는 ‘거리낌이 없다’는 사실을 재차 확인했으나, 직후 방한한 커트 켐벨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청와대 고위관계자에게 말했더니 이를 반기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다”고 알려와 취소했다고 회고했다.

베이더는 또 천안함 사태 후 일부 언론에 보도됐던 항공모함 조지워싱턴호의 서해 투입과정도 설명했다. 그는 7월 말 NSC 부위원회에서 동해로 조지워싱턴호를 투입하기로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11월 11∼12일 서울에서 열린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에게 열흘 안에 서해로 조지워싱턴호를 보내겠다는 의향을 전했으며, 공교롭게도 이로부터 얼마 뒤인 23일 연평도 포격이 발생했다고 그는 설명했다.

베이더 전 보좌관은 지난해 5월 일선에서 물러나 진보적 싱크탱크인 브루킹스 연구소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