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소속 비정규직 2900명 정규직 전환… 여성이 살맛나는 서울로 ‘性 평등 실현’ 정책 패러다임 바꾼다
입력 2012-03-06 19:20
서울시가 세계 여성의 날을 이틀 앞두고 서울시 여성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실질적 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6일 서소문청사 브리핑룸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여성의 삶을 바꾸는 서울비전’을 발표했다.
박 시장은 이날 성평등위원회 출범, 시 소속 비정규직 여성 정규직 전환, 25개 자치구별 여성건강지원센터 설치, 범죄예방환경설계 도입, 직장맘지원센터 설치, 취약계층 여성 지원 강화 등 6개 분야의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시는 각계 전문가와 시민 등 35명이 참여하는 성평등위원회로 하여금 각종 정책을 점검하고 심의·조정한다. 시는 성평등 기본조례도 제정할 계획이다.
주요 정책결정 과정에 여성 참여비율을 현재 30%에서 2014년까지 40%로 늘리고, 남녀공학 중·고교 437곳에 여성탈의실을 설치할 수 있게 예산 102억원을 지원한다.
또 비정규직 여성 노동자 66만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선도하기 위해 시와 출연기관 소속 비정규직 근로자 2900명을 단계적으로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25개 자치구에 여성건강지원센터를 설치하고 9개 시립병원 중 1곳을 여성전문병원으로 특화해 생애주기별 질병을 중점 검진한다. 각 시립병원에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한 여성전용 정신건강치료센터를 설치하고,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2대 여성암 퇴치사업도 벌인다.
특히 밤늦게 귀가하는 직장여성들이 범죄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기법을 도입한다. 새로 짓는 공동주택이나 건물에 대한 건축심의를 하면서 투시형 엘리베이터, 사각지대 안전거울 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38개 공원에는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한 CCTV 310대를 추가 설치하고 휴일과 야간에 우범 지역을 집중 순찰해 안전체감도를 높일 방침이다.
이 밖에 오는 4월 시청에 직장맘지원센터를 시범 설치해 출산과 육아를 지원한다. 취약계층 여성의 취업과 자립을 돕기 위해 삼성동 옛 서울의료원 건물에 장애여성 인력개발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2016년까지 자치구마다 장애여성복지시설을 설치한다.
김칠호 기자 seven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