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무섭다… OECD 주요국 중 가장 가팔라

입력 2012-03-06 18:54


우리나라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주요 국가 중 가장 가파른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대비 부채 비율의 증가폭이 영국보다 9배 이상 컸다. 또 현 정부 들어 제2금융권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은행보다 최대 3배 이상 증가해 서민들의 빚 부담이 크게 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동수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금융정책연구부장은 6일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경제의 재조명’ 토론회에서 “가계부채의 수준과 증가폭이 다른 나라보다 월등히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강 부장은 다른 나라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채를 감축한 것과 달리 우리나라는 금융부채 증가율이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현저히 상회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05년과 2010년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28.2% 포인트가 올라 OECD 주요 8개국 중 가장 높았다. 캐나다가 21.1% 포인트 증가로 뒤를 이었고 프랑스의 증가폭이 16.1% 포인트였다. 유럽 재정위기의 핵심 당사국인 이탈리아도 13.5% 포인트로 우리나라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영국(3.0% 포인트)보다는 9.4배나 증가폭이 컸다. 독일(-10.8% 포인트), 미국(-6.9% 포인트), 일본(-6.5% 포인트)은 2005년보다 부채비율이 감소했다.

가계부채 수준도 2010년 기준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가 157.6%로 OECD 국가평균(135%)을 크게 웃돌았다.

가계부채의 질도 좋지 못하다고 강 부장은 설명했다. 2008∼2011년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은 5.81%였다. 반면 돈 없는 서민들의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은 11.08%로 은행의 두 배가량 됐으며 신용협동조합의 대출증가율은 19.20%였다. 새마을 금고는 4년 만에 20.54%나 급증했다. 강 부장은 “위험관리시스템이 미흡한 비은행기관의 가계대출 증가는 신용도가 낮은 가구의 빚 부담이 늘어난다는 의미”라며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부과되기 때문에 서민층의 이자상환 부담이 커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