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여야, 탈북자 인권수호에 힘 보태야
입력 2012-03-04 18:12
연세대 100주년 기념관에서 어제 이색 콘서트가 열렸다. 주최자는 배우 차인표씨를 비롯해 탈북자 문제를 걱정하는 연예인 모임인 ‘Cry with us (우리와 함께 울어요)’, 참석자는 탈북자들이었다. 연예인들은 공연과 함께 호소문을 통해 각국 국민들에게 탈북자 문제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아시아와 유럽 미국 연예인들을 동참시켜 국제적인 콘서트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이처럼 강제북송 위기에 처한 탈북자들을 도와야 한다는 움직임이 거세다. 세계 청소년들과 힘을 합쳐 북한 인권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고등학생들도 나왔다. 지구촌 곳곳의 민간단체들도 중국의 탈북자 북송에 항의하는 집회를 갖고 있다. 탈북자들을 송환하지 말 것을 중국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구하는 국가들도 늘어나는 추세다. 탈북자 문제는 이념을 초월해 인권이라는 보편적 가치와 직결된 중차대한 사안이라는 데 많은 국가와 국민이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는 중국대사관 앞에서 단식농성 11일 만에 쓰러져 병원으로 후송된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의 용기가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박 의원을 제외한 우리 정치권의 태도는 실망스럽다. 특히 민주통합당이 그렇다. 박 의원 농성장에 10여개국 출신 100여명의 외국인들까지 다녀갔으나 민주당 의원은 한 명도 없었다. 당 차원의 성명도 없다. 지난달 23일 ‘탈북자 강제송환 중단 촉구 결의안’을 국회에 제출한 것 외에 더 할 일이 없다는 식이다. 민주당을 지지하거나 올 총선에서 연대할 좌파 세력을 의식한 결과일 것이나, 자기모순이다. 지금까지 인권 개선을 외쳐오지 않았는가. 단견(短見)과 협량(狹量)에서 벗어나 탈북자 인권에도 목소리를 내야 한다.
새누리당은 지난 2일 60대 탈북자를 주요 당직자회의에 참석시켜 북송된 탈북자들이 얼마나 비참한 생활을 하는지를 들은 뒤 ‘국회 탈북자 대책 특위’ 구성 등을 검토하고 있다. 뒤늦게나마 탈북자를 돕겠다고 나선 것은 다행스럽다. 그러나 탈북자 문제를 총선에서 표를 얻는 수단쯤으로 여겨선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