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대선 D-1] 러, 선거부정 감시 잘될까… 외국기자 취재도 사전 차단
입력 2012-03-02 18:45
지난해 12월 초 러시아 총선 이후 불거진 반(反)푸틴 시위를 4일 치러지는 대통령선거에서 잠재울 수 있는 것은 역시 투·개표 부정 의혹을 떨쳐버리는 것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 측은 그동안 4억4700만 달러를 들여 공정선거 대책을 마련했다. 이를 위해 우선 전국 9만5000여개 투표소 가운데 9만1700곳에 CCTV 20여만 대를 설치했다. 이번 주 초부터 이곳에 설치된 CCTV 화면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도록 온라인 사이트(www.webvybory2012.ru)도 개설해 점검에 들어갔다.
여당인 통합러시아당은 웹사이트 ‘공정한 선거’를 만들어 부정선거를 막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도 벌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 같은 공개적인 선거 감시행위에도 불구하고 부정선거는 은밀한 곳에서 이뤄질 수 있다는 게 야당 등 반푸틴 진영의 우려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일 지적했다. 특히 투표소마다 2개씩 설치되는 카메라로는 부정을 완벽하게 막을 수 없다는 게 중론이다. 카메라 하나는 투표소 전체를 비추고 있고 나머지 하나는 투표함만 향하도록 설치돼 있어 투표용지 바꿔치기나 중복투표 등을 감시하기에 역부족이다.
러시아 독립 선거감시기관인 골로스 외에 시민 자원봉사자들로 구성된 ‘투표자연맹’, ‘시민감시자’ 등 두 개의 선거 감시단체도 설립됐다. 두 단체는 스마트폰 앱을 만들거나 동시개표 방법을 동원키로 하는 등 고육책을 마련했다. 12월 총선 이후 길거리 시위를 벌인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현재 전국에서 3만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이 단체에 등록해 감시훈련을 받고 있다.
그러나 푸틴 측이 지명한 감시단원이 이들보다 많은 7만명에 달해 시민감시단이 수적으로 불리하고 전국 투표소의 20%가량밖에 커버하지 못한다.
여기에다 벌써부터 러시아 정부는 시민감시단원들이 부정선거 장면을 허위로 만들어 비디오를 제작하고 있다고 맞불을 놓는 분위기다. 또 선거취재를 위해 입국한 에스토니아 기자를 국경에서 억류하는 등 외국기자들의 취재를 사전 봉쇄하려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차이나데일리는 상하이협력기구(SCO)가 선거참관단을 보냈다고 보도했으나 활동지역이 모스크바에 국한돼 있어 이 역시 객관적이고 철저한 감시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2001년 설립된 이 기구는 러시아를 비롯 카자흐스탄, 키르기스,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구소련 국가들과 중국이 참여하고 있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