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노인일자리 확충 팔걷었다
입력 2012-03-02 18:37
노령인구의 자활과 사회 참여를 돕는 노인일자리 만들기에 전국 자치단체들이 적극 나서고 있다.
앞 다퉈 지난해보다 예산을 늘리고, 단순 노동의 일자리에서 탈피해 노인들의 경륜과 지식을 최대한 활용 가능한 수준이 있는 일자리를 마련하는 데도 애쓰고 있다.
경북도는 269억원의 예산으로 노인일자리 1만7400여개를 공급키로 했다고 2일 밝혔다. 도는 경륜과 지식을 전달하는 충효훈장, 택배사업, 한식당 창업사업단, 파견업체의 경비원·환경미화원 등의 일자리를 집중 공급할 방침이다.
김상우 도 노인복지담당은 “단순작업 위주의 획일적인 일자리보다는 사회적 이슈를 선점하고 사회적으로 소외되거나 관리가 필요한 대상별로 전략사업을 기획·보급함으로써 노인일자리의 질을 높이는데 중점을 둘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시도 163억원의 예산으로 노인일자리 1만2400여개를 만든다. 저소득층 대상의 공익형 일자리와 문화유산, 숲 생태 해설사 등 교육·복지형 일자리, 실버카페 등 창업형 일자리도 늘릴 계획이다. 산모 도우미, 아파트 택배, 소규모 음식점, 지역기업체와 연계한 인력파견 등 민간분야 일자리들이다.
광주시는 올해 사업비 105억7600만원을 투입해 7180개의 자리를 창출한다고 2일 밝혔다. 취약계층의 노인들 위주로 종전보다 다양한 일자리를 제공한다.
김준영 시 노인장애인복지과장은 “어르신들의 재능과 경륜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도록 다양하고 전문적인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어르신들의 생산적 사회참여를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214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부산시는 226억원의 사업비로 1만7900개의 노인일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대전 동구와 충남 연기군, 청양군도 공익·교육·복지 등 이른바 사회공헌형 노인일자리에 대한 자체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
이 밖에 경기도는 2015년까지 1만4000개의 노인일자리를 만들어 관내 시·군 실버인력뱅크와 시니어클럽과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마련 중이다.
서울 강북구와 성동구, 중랑구도 이날 각각 ‘노인일자리 사업 발대식’을 가졌다. 강북구(구청장 박겸수)의 경우 오는 9월까지 환경도우미 활동, 스쿨존 교통지원 등 18개 분야에서 관내 노인일자리 사업을 펼친다. 또 직업상담사 등이 구직자들에게 개인별 맞춤형 취업 상담과 알선을 하고, 구청 1층에 취업정보센터를 운영한다.
대구=김재산 기자, 전국종합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