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공천 탈락자 무소속 출마 현실화?] 舊민주계 “민주동우회 검토”

입력 2012-03-01 19:03

여야가 4·11 총선 공천자 잡음에 휘말리면서 낙천자들이 틈새를 노린 무소속 연대를 꾀하고 있다. 4년마다 되풀이되는 현상으로 아직은 모색 단계에 불과하지만, 2008년 18대 총선에서 14석을 얻어 돌풍을 일으켰던 ‘친박연대’를 롤모델로 거론하는 얘기들이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더욱이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중진급 인사들이 앞장서는 형국이어서 이들의 무소속 행보가 총선 구도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민주통합당의 전·현직 의원 및 친노(親盧·친노무현) 인사 공천 파문이 집단 탈당과 무소속 출마 연대 결성 사태로 번질 조짐이다. 공천에서 탈락한 구(舊)민주계 인사들이 “DJ(김대중 전 대통령) 유업 지우기와 동교동계 죽이기에 반대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무소속 ‘구락부’를 기정사실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 당 공심위원회의 2차 공천에서 탈락한 한광옥(서울 관악갑) 상임고문과 김덕규(서울 중랑을) 전 국회부의장은 1일 가칭 ‘민주동우회’를 만들어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두 사람은 2일 기자회견을 갖고 이 같은 입장을 공식화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부의장은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당신네들의 함량 미달 심사로 60년 민주당의 역사가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했다”면서 “그동안의 내 정치 역정을 지역구민에게 직접 평가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치 경험이 미숙하다는 생각조차 든다”며 한명숙 대표를 직접 공격하기도 했다.

구민주계의 집단 탈당 움직임은 당의 ‘텃밭’인 호남권과 야당 바람이 거센 부산지역에서 특히 노골화되는 양상이다. 선거인단 모집과정에서 전직 동장의 투신자살 사건이 발생한 광주 동구 박주선 의원은 “이번 사건을 구민주계 죽이기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가만히 있지 않겠다”면서 “무소속 출마와 무소속 벨트를 만들어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민주계 출신 다른 의원 측도 “구민주계 중심인물들이 반발하고 있는 것은 실제로 호남에 그런 정서가 있기 때문”이라면서 지도부를 향해 “DJ 향수가 구민주계 결집으로 되살아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호남세력의 좌장격인 박지원 최고위원도 트위터에 “민주동우회 결성 제의를 받은 게 사실”이라고 언급해 무소속 벨트 결성이 가시화됐음을 시사했다. 하지만 박 최고위원은 “그런 일은 바람직하지 않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야권통합으로 정권교체를 하라 하셨지 분열로 패배하라 하시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문재인 상임고문과 문성근 최고위원, 노무현 전 대통령 보좌관들이 공천을 싹쓸이하다시피 한 부산에서도 지역구 위원장 대다수가 집단행동에 가담한 상태다. 부산시당 소속 위원장 18명 가운데 15명이 가칭 ‘부산민주연대’를 결성해 탈당 및 무소속 집단 출마 의사를 밝혔다.

이처럼 부산지역 정서가 악화되자 지역구 활동을 벌이던 문 상임고문이 급거 상경해 지도부에 수습책을 찾아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