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행 성공했지만 상처도 깊은 선거인단 모집… 민주, 후폭풍 심상찮을 듯
입력 2012-03-01 18:20
민주통합당이 4·11 총선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준다며 야심 차게 추진한 국민경선 선거인단 모집이 ‘상처뿐인 영광’으로 얼룩져 후폭풍이 심상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선거인단 모집이 29일 마감됨에 따라 이르면 이달 초부터 모바일 투표와 현장투표 방식으로 지역별 경선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1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선거인단 신청자를 대상으로 이의 신청을 받았다.
지난달 20일부터 시작한 선거인단 모집에는 총 103만4173명이 신청한 것으로 최종 집계됐다. 지난 1·15 전당대회 때 79만2000여명보다 20만명 이상 많다는 점에서 일단 흥행에는 성공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대리등록과 금품살포 등 부정선거 의혹이 전국으로 확산되며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실제로 선거인단 모집과정에서 투신 자살사건이 발생한 광주 동구지역에서는 일반유권자들이 선거인단 대리등록에 동원되는 등 불법선거운동이 광범위하게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광주 동구에서 입수된 수첩형태의 대리모집 문건에는 선거인단 등록에 필요한 성명과 성별, 생년월일, 주소, 휴대전화번호, 집전화번호, 이메일, 선거인단 유형, 추천인 등이 기입토록 돼 있으며 한 페이지당 1명씩 총 32명을 기입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이 대리모집 수첩은 ‘피라미드식’으로 수차례 단계를 거치면서 유권자들에게 배부돼 조직적인 대리 등록이 이뤄졌다. 이 때문에 광주·전남에서는 모바일 투표 신청자 중 자발적으로 한 사람은 10%도 안 될 것이라는 말이 공공연하게 돌고 있다. 광주에 출마준비 중인 한 예비후보자는 1일 언론과의 접촉에서 “솔직히 10명 중 1∼2명 빼고는 모두 조직표”라고 털어놨다. 총선 모바일 투표 비용도 10억원 이상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다 보니 공천혁명을 일으키겠다고 도입한 모바일 경선제도가 오히려 불법선거운동을 양산하고 있다는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경선방식에 대한 불만과 중단요구도 곳곳에서 터져 나오는 실정이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