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율 법안 국회 통과되자 고객에게 화풀이?… 카드업계 부가서비스 대폭 줄인다

입력 2012-02-29 19:19


신용카드사들이 가맹점 수수료율 차별 금지 법안의 국회 통과 등 최근의 카드사 압박 움직임에 대해 고객 부가서비스 축소 등으로 맞불을 놓았다. 수익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서비스 축소가 불가피하다는 것이 카드사 입장이지만 정부 및 정치권과 업계 간 갈등에 애꿎은 고객만 피해를 본다는 비판도 만만찮다.

29일 여신금융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포인트 적립, 할인율 축소, 전월 사용액 상향 조정 등을 통해 부가서비스를 일제히 줄일 계획이다.

외환카드는 이달 말에 전국 훼미리마트에 대한 ‘예스’포인트 사용 및 재적립 서비스를 중단한다. 삼성카드의 ‘아시아나 삼성지엔미플래티늄카드’와 ‘아시아나 삼성애니패스플래티늄카드’는 내달부터 무이자 할부 이용금액을 마일리지 적립 대상에서 제외한다.

카드업계 1위 신한카드는 결제 금액의 0.2%를 인터파크 마이신한포인트로 적립해줬으나 6월부터 0.1%로 축소하기로 했다. KB국민카드는 5월부터 프라임회원 대상 포인트리 적립서비스를 끝내며 8월부터 주유할인 제휴 포인트리 적립 서비스도 중단한다.

할인 혜택도 대폭 줄어든다. ‘KB국민 이레저카드’는 철도승차권 5% 현장 할인 서비스를 4월에 끝낸다. ‘현대오토인슈-현대카드’는 4월부터 롯데월드 자유이용권 50% 현장 할인을, 롯데카드는 5월부터 롯데월드 무료입장 서비스를 각각 종료한다.

아울러 부가서비스 이용을 제한하고자 전월 이용 실적 한도를 높이거나 까다롭게 바꿀 예정이다.

카드사들은 수익이 줄어드는데 비용부담이 만만찮은 부가서비스 및 각종 혜택 축소는 어쩔 수 없다고 주장한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정부와 정치권의 각종 제재로 수수료 수입 등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로 가고 있다”며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줄여야 하기 때문에 마케팅 비용의 80%를 차지하는 부가서비스 축소는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지난 27일 정부가 카드 가맹점에 대한 우대 수수료율을 직접 정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여신전문금융업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으며 금융위원회는 지난해 말 신용카드의 이용을 억제하는 ‘신용카드시장 구조개선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카드사의 각종 혜택 축소는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일방적으로 전가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금융소비자연맹 조남희 사무총장은 “부가서비스와 할인 기능을 홍보하며 소비자들을 회원으로 끌어들인 카드사들이 수익감소 우려를 이유로 혜택을 축소하는 것은 소비자의 권리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비용구조를 획기적으로 바꾸는 등 자기혁신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카드 매출액이 매년 약 10%, 카드 가맹점 수가 7%가량 늘어나는 데 따른 이익도 있는데 카드사들이 이 부분에 대해서는 외면하고 일부 정책에 대한 피해만 주장하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