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강행” “중단 후 보완”… 민주, 모바일투표 싸고 충돌

입력 2012-02-29 18:54

민주통합당의 4·11 총선 공천을 위한 모바일투표 경선 선거인단 모집 비리 의혹이 갈수록 커지는 양상이다. 당 지도부가 ‘계속 강행’과 ‘중단 후 보완’을 놓고 균열 조짐을 보이는가 하면 전국 각지에서 지방자치단체장의 부정 개입과 선거인단 불법 모집 제보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명숙과 박지원 정면충돌=29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는 한명숙 대표와 박지원 최고위원이 이 문제를 놓고 정면충돌했다. 박 최고위원은 “당이 지난 1·15 전당대회에 도취돼 모바일투표 방식만 고집하고 있다”며 “선거인단 등록이 마감되더라도 또 다시 경선 과정에서 일어날 현장투표 동원 문제에 대해 철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한 대표는 “여러 장애가 있지만 새로운 정치를 향한 모바일 경선 혁명은 결코 좌초되지 않을 것”이라며 모바일 투표 강행 방침을 분명히 했다.

이에 박 최고위원은 “지역성 등 여러 문제가 있어 모바일 투표의 어려움을 누차 지적했고 지역특성에 맞는 경선방법을 도입하자고 수차례 주장했지만 당은 이를 무시했다. 온갖 사고가 표출돼 우리 당에 대한 국민적 지지가 철회될 염려를 자아내고 있다”고 한 대표를 공격했다.

◇선거인단 모집 부정, 확산일로=선거인단 부정 모집 의혹은 ‘자살 사건’이 불거진 광주 동구와 호남권을 넘어 수도권으로 번지고 있다.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경기 양주·동두천 지역구의 A예비후보는 경쟁자인 B예비후보가 자신의 선거사무실에서 선거인단을 대리 접수했다며 경찰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경기도 내 다른 지역구에서도 개인정보 불법 수집과 선거인단 대리접수 의혹이 속속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와 현역 의원이 결탁한 ‘관권 선거형’ 부정사례도 눈에 띈다. 신경민 대변인은 이날 “기초 단체장들이 경선에 개입한다는 제보가 들어와 확인 중”이라며 “공직자를 동원한 선거인단 모집 행위가 주요 내용”이라고 밝혔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광주 동구도 현 구청장의 암묵적 지시 아래 지방의원 등이 사조직을 운영해 선거인단을 대리 모집해 준 것으로 드러났다.

◇경선 불복종사태 우려=민주당은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불거진 각종 불법 의혹이 자칫 후보 경선 전체에 치명타를 가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모습이다. 경선 이후 신뢰도를 문제 삼아 결과에 승복하지 않는 탈락자들이 대규모 불복종 사태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신 대변인이 “철저히 조사해 부정행위가 드러난 해당 예비후보에게는 경선 후보 자격을 박탈하고 (당 소속) 지자체장에게도 조치를 취하겠다”고 엄중 대응 방침을 천명한 것도 경선 후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을 원천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국회 정치개혁특위 새누리당 간사였던 주성영 의원은 “민주당 주장을 받아들여 모바일투표를 입법화했으면 지금 땅을 치고 후회했을 것”이라며 “(모바일 투표) 부작용은 이미 예견됐던 일”이라고 주장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